초기 인류 ‘320만 년’ 전부터 도구 사용 <사이언스誌>
입력: 2015.01.23 15:18
▲ 1950년대 체코 화가 즈데넥 부리안(1905~1981)이 그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아프리카누스 원인)의 상상도. / ⓒAFPBBNEWS=NEWS1
지금으로부터 320만 년 전쯤 아프리카에 살았던 초기 인류의 손이 도구를 발명할 수는 없어도 도구를 잡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는 연구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사이언스지(誌) 온라인판 22일 자로 발표됐다.
도구의 발명을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는 약 260만 년 전으로, 200만~300만 년 전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에 서식했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 아프리카누스 원인)는 지금까지의 이론으로는 도구를 만들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영국 켄트대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이 발표한 새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누스 원인의 손은 기존과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아프리카누스 원인은 원숭이를 닮은 얼굴과 긴 팔을 가졌지만, 뇌는 크고 두 다리로 직립보행을 하고 있었다. 나무에서 내려와 생활했고 손재주가 있을 정도로 높은 운동능력을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침팬지, 아프리카누스 원인(320만년 전), 건장한 원인 혹은 초기 인류(190만~180만년 전), 인간
이번 연구결과는 뼈 내부에 있는 ‘섬유주’라는 해면상 구조를 새롭게 분석한 것에 근거를 둔다. 연구팀은 이런 섬유주를 분석해 아프리카누스 원인이 살았을 당시 뼈의 쓰임을 밝힐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런 해면질의 뼈는 인간과 침팬지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인간은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해 물건을 꽉 움켜잡을 수 있지만, 침팬지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은 이런 점에서 현생인류의 손과 상당히 비슷했다. 이들은 도구를 사용하거나 동굴벽화를 그리는 등 손재주가 있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누스 원인 역시 “인간과 유사하게 엄지손가락 뼈와 손바닥 뼈를 통해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과 강력한 대립 운동을 했음을 나타내는 해면질의 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립 운동은 “일반적으로 도구를 사용할 때 쓰인다”고 성명을 통해 밝히고 있다.
▲ 아프리카누스 원인의 손 뼈.
또 이들은 “이번 결과는 기존에 발표된 원인의 석기 사용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를 뒷받침하며 초기 인류가 인간과 닮은 손의 형태를 기존 이론보다 훨씬 전부터 더 자주 사용하고 있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는 영국 캔트대 외에도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오스트리아 빈 공과대도 참여했다.
사진=ⓒAFPBBNEWS=NEWS1(위), 사이언스지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123601015§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투모로우’ 연상? ...1m 폭설· 강풍 예고에 텅빈 뉴욕 도심 - 눈폭풍 비상 (0) | 2015.01.27 |
---|---|
+ 하늘을 나는 車, 올봄 ‘모나코 모터쇼’에서 공개 - 2~3년 안에 상용화 계획 (0) | 2015.01.27 |
+ 연쇄 살인마 “악마가 자꾸 사람을 죽이라고... 제발 나를 붙잡아가라" (0) | 2015.01.26 |
+ 그린란드에 2km 거대 크레이터 생성…빙하가 녹고있다 (0) | 2015.01.25 |
+ 날아다니고 걸어다니는 뱀파이어 박쥐 ‘드론’ 개발 (0) | 2015.01.25 |
+ ‘문명종말 시계’ '종말 '3분 전'으로 당겨져... “기후변화·핵 위협” (0) | 2015.01.23 |
+ “전자담배, 일반 담배보다 특정 유해물질 15배↑” (0) | 2015.01.22 |
+ “100년 안에 전세계 언어 90%는 사라질 것” (0) | 2015.01.21 |
+ 시속 130km...남프랑스 앞바다에 ‘희귀 물회오리’ 발생 (0) | 2015.01.21 |
+ 당뇨·암 등 생활습관병 탓 연간 1,600만명 조기사망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