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방사포 19분→3분→30초 연발사격 단축…정확도 미지수
"美, '한반도 위기' 대비 동맹 공격 아닌 강화가 책임있는 경로"
北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김정은 참관 후대만족"
(종합)
2019/11/29 07:33
'연속발사' 성능확보 과시…"전투 적용성 최종검토 목적, 무기체계 확증"
북한,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전투적용성 최종검토 목적"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하에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을 진행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중앙통신 홈페이지가 공개한 사진으로, 차륜형 이동식발사대(TEL)
위 4개의 발사관 중 1개에서 발사체가 화염을 뿜으며 치솟고 있다. 2019. 11.29 nk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하에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을 진행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를 올해 4차례의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보도 중 처음으로 '연발시험사격'으로 규정했다. 자체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가 방사포의 핵심 기능인 연속발사 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참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2019.11.2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위원장이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참관하셨다"며 "시험사격 결과에 대하여 대만족을 표시하셨다"고 전했다.
특히 통신은 "초대형방사포의 전투 적용성을 최종검토하기 위한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이번 연발시험사격을 통하여 무기체계의 군사 기술적 우월성과 믿음성이 확고히 보장된다는 것을 확증하였다"고 밝혔다.
북한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김정은 대만족 표시" / 연합뉴스 (Yonhapnews) 유튜브로 보기
이번 시험사격의 최종 목적으로 '전투 적용성'을 언급하고 김정은 위원장이 '대만족'했다고 보도해 초대형 방사포가 실전배치를 염두에 둔 최종 성능검증 단계에 이르렀음을 시사했다.
이날 통신에 공개된 초대형 방사포 사진에는 이전 발사 때와 같은 차륜형 이동식발사대(TEL)에 발사관 4개가 식별됐다.
김정은,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참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2019.11.2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8일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발사체의 고도는 약 97㎞, 비행거리는 약 380㎞로 탐지됐으며, 2발은 30여초 간격으로 발사됐다.
북한은 올해 들어 이번까지 13번째 발사체를 발사했다. 이중 구경 600㎜급으로 추정되는 초대형 방사포 발사는 지난 8월 24일과 9월 10일, 지난달 31일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초대형 방사포 발사에서도 3분여 간격으로 2발을 발사하고 "연속사격체계의 완벽성을 검증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당시 전문가들은 발사 간격(3분여)상 방사포의 핵심 성능인 '연속발사'의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1, 2차 시험발사 때 모두 참석했던 김정은 위원장이 불참해 아직 방사포의 '위력'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관측을 낳았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월 10일 방사포 시험사격을 마지막으로 현지지도 하고 "앞으로 방사포의 위력상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되는 연발사격시험만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이 다시 직접 지켜본 이번 발사에서는 지난달 31일 세 번째 발사 대비 비행거리는 길어지고 고도는 높아졌다. 특히 3분여에 달하던 발사 간격이 30초로 단축돼 '연속 발사'를 성능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신은 이번 시험사격 후 "인민군 대연합부대장들은 군사 기술적 강화를 위하여 올해에만도 그 위력이 대단한 수많은 무장장비들을 개발 완성해주신 최고 영도자동지께 축하의 인사, 감사의 인사를 삼가 올리였다"고 전했다.
또 "최고영도자동지의 직접적인 지도밑에 세상에 없는 강위력한 무기체계를 개발 완성한 희열에 넘쳐있는 국방과학자들은 당의 전략적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우리 식의 첨단무장장비들을 더 많이 연구개발하고 하루빨리 인민군대에 장비시켜 나라의 방위력을 계속 억척같이 다져나갈 불타는 결의에 충만돼 있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1, 2차 '현지지도' 때와 달리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시험사격 참석을 '참관'으로 표현했다.
시험사격에는 박정천 군 총참모장이 동행했고, 당 군수공업부 리병철 제1부부장과 김정식 부부장, 장창하·전일호 등 국방과학원 간부들이 현지에서 영접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23일 남북접경지역인 창린도 방어부대를 시찰하고 해안포 사격을 직접 지시한데 이어 실전 배치를 염두에 둔 초대형방사포의 시험사격을 참관한 것은 비핵화 협상 시한으로 정한 연말의 목전에서 잇단 '저강도 무력시위'로 한반도의 긴장 수위를 끌어올려 미국과 남측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사일 강국' 북한은 왜 방사포 개발에 주력할까 유튜브로 보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minaryo@yna.co.kr> 2019/11/29 07:33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191129005351504?section=nk/news/all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도네시아 지진 발생 2019- 올해 1만 300건…작년부터 급증 (0) | 2019.12.02 |
---|---|
+ 美 전역을 강타한 겨울폭풍…'5천만명 영향권'… 항공기 4천여편 취소·지연, 교통대란 (0) | 2019.12.02 |
+ 알바니아 6.4 강진 - 51명 사망, 부상 2천여명, 이재민 4천여명 수색 종료 (0) | 2019.12.01 |
+ '한국을 향한 경고의 메세지' / 침몰된 일본과 7개로 분할된 중국은 통일한국에 귀속. 최대국가 탄생예언 (0) | 2019.11.30 |
+ 이라크 반정부 시위대 이란영사관 또 방화…'실탄진압에 45명 사망' (0) | 2019.11.29 |
+ 美추수감사절 연휴 악천후…'폭탄 사이클론'에 폭풍,폭설,폭우로 곳곳서 발묶여 (0) | 2019.11.28 |
+ '흑사병' 정보 은폐 논란 - 중국 의사들 SNS에서 '흑사병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은 안전 ?? (0) | 2019.11.28 |
+ 또, 그리스에서 6.0 강진…알바니아·보스니아 이어 - 동 유럽 지진 강타 (0) | 2019.11.27 |
+ [예언]「2020년 도쿄 올림픽은 개최되지 않는다」일본인 예언자, 마츠바라가 고백! (0) | 2019.11.27 |
+ 알바니아, 6.4 최강 지진에 23명 사망·650명 부상 - 매몰자 많아 사망자 늘듯 (0) | 201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