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로 본 심우주의 ‘미스터리 은하’
입력: 2014.12.28 19:01
▲ 허블 우주망원경이 심우주에서 잡아낸 IC 335 은하. 희귀한 렌즈형 은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놀라운 미스터리 은하의 영상을 공개했다. 과학자들은 어쩌면 SF영화에나 나올 법한 모습의 이 은하가 우주의 형성에 관한 비밀을 알려줄지도 모른다고 기대하고 있다.
'IC 335'로 불리는 이 렌즈형 은하는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운용하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6000만 광년 거리의 심우주에서 잡아낸 것으로, 화학로자리에 있는 3개의 다른 은하들이 포함된 은하단의 일원이다.
은하의 형태 분류에 따르면, 렌즈형 은하는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중간형에 속한다. 나선은하와 같이 원반을 갖고 있는 점은 공통적이지만, 렌즈형 은하는 이미 성간물질을 많이 잃어버려 별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원은하처럼 주로 나이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형 은하는 나선팔이 거의 발달하지 않아 IC 335처럼 시선방향에 나란히 놓여 가장자리만 보일 때는 종종 타원은하로 오인되기도 한다.
사진에서 보이듯이 IC 335 원반은 지구에서 시선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바람에 가장자리만 보인다. 그래서 이것이 어떤 은하 형태를 가진 건인지 알고 싶어하는 천문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하는 것이다. 은하의 특성을 결정짓는 나선팔이나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는 은하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드러나는 특징이다.
▲ 실꾸리 은하로 불리는 NGC 5866. 용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
렌즈형 은하는 원반과 팽대부가 얇다는 점에서는 나선은하와 같지만, 전형적인 나선은하와는 반대로 성간물질들을 거의 소진한 은하이기 때문에 별들을 생산할 능력이 거의 없는 은하다. 어쩌다가 새로운 별들이 태어나기는 하지만, 그 형성 비율이 아주 낮은 편이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렌즈형 은하들은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들의 수도 타원형 은하와 비슷하다.
렌즈형 은하는 또 두 형태의 은하와 같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크기와 스펙트럼 형태(분광형태)가 그것들이다. 이는 은하 진화 과정의 초기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어쨌든 타원은하가 비록 지금은 천천히 진화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하나같이 격렬한 은하 충돌을 겪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렌즈형 은하는 다른 은하와는 한번도 상호작용하지 않는 흐릿한 늙은 나선 은하이거나, 또는 과거에 두 나선은하가 충돌하여 하나로 합병된 결과물이다. 하지만 이들 은하의 정확한 성격이나 상호관계는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사진설명 1=허블 우주망원경이 심우주에서 잡아낸 IC 335 은하. 희귀한 렌즈형 은하다
사진설명 2=실꾸리 은하로 불리는 NGC 5866. 용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
나우뉴스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1228601015§ion=&type=daily&page=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FO 뉴스 / 태양에 거대한 시가형 UFO 출현. 지구촌 상공 출현 UFO 들. 크롭서클 2014 (0) | 2014.12.31 |
---|---|
+ [2014 결산] 올해 발견된 주목할 만한 외계행성 - 715개 무더기 발견 외 (0) | 2014.12.31 |
+ 화성 표면에서 가로 1m ‘관’ 발견…정체는? (0) | 2014.12.30 |
+ 2014년 10대 과학 뉴스 - 토성'위성, 바다 존재확인 외 [매셔블 선정] (0) | 2014.12.29 |
+ UFO 뉴스 / 인류의 대혼란을 우려해 발표하지 못하는가?. 지구상공에 출현하는 UFO 들... (0) | 2014.12.29 |
+ 신세계 질서를 불러오는 세계경제 붕괴와 돈의 비밀 / 그들은 누구인가? (0) | 2014.12.28 |
+ [우주 다큐] NHK 우주대기행 - 지구 밖 생명체를 찾아서... 외 7 편 (0) | 2014.12.27 |
+ [아하! 우주] 올해 지구를 뒤흔든 ‘2014 우주탐사 8대 사건’ (0) | 2014.12.26 |
+ 지구 최근접 초신성 잔해 속 ‘미스터리 천체’ 발견 - 천문학계 관심집중 (0) | 2014.12.26 |
+ 국제우주정거장서 촬영한 초고화질 지구 영상공개 (ESA) (0) | 201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