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아하! 우주] - 우리 은하계를 공전하는 9개 위성은하 대거 발견

 

 

 

[아하! 우주]

우리 은하계를 공전하는 위성은하 대거 발견

 

입력: 2015.03.12 16:28

 

 

 

▲ 대마젤란은하 및 소마젤란은하와 새로 발견된 위성 은하의 위치.

V. Belokurov, S. Koposov (IoA, Cambridge). HI image: M. Putman (Columbia))

 

우리 은하는 국부 은하군(Local Group)에서 매우 큰 은하로 여러 개의 위성 은하들을 거느리고 있다. 별 주위에 행성이 공전하고 행성 주변에 위성이 공전하듯이 우리 은하의 거대한 중력에 이끌린 주변의 작은 은하들은 우리 은하의 주변을 공전하고 있다.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들은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를 제외하고는 매우 작고 어두운 은하들이어서 20세기 전까지는 그 존재를 몰랐으며, 최근 관측 기술이 발전하면서 발견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천문학자들은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작은 왜소 은하들이 우리 은하 주변에 다수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해왔다.

 

최근 케임브리지 대학,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등의 국제 과학자팀은 암흑 에너지 서베이(Dark Energy Survey)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무려 9개에 달하는 위성 은하를 찾아냈다. 이 위성 은하들은 매우 작고 어두운 초미니 은하들로 그 밝기는 우리 은하의 10억 분의 1에 불과하며, 질량 역시 100만 분의 1에 불과하다.

 

 

▲ 새로 발견된 위성 은하와 우리 은하의 상대적 위치.

출처 S. Koposov, V. Belokurov (IoA, Cambridge). Background: 2MASS)

 

새로 발견된 9개의 위성 은하 가운데 가장 가까운 것은 우리 은하에서 9만5천 광년 떨어져 있으며, 가장 멀리 떨어진 것은 120만 광년 정도 거리에 있다. 연구의 리더인 케임브리지 대학의 세르게이 코포소프 박사(Dr Sergey Koposov)는 이 은하들 가운데 가장 작은 것은 5,000여 개에 불과한 별만을 가지고 있다면서 놀라움을 표시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새로 발견된 위성 은하들은 우리 은하 주변의 상태를 연구하는 것은 물론 암흑 물질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우리 우주에서 수소, 헬륨 같은 우리에게 알려진 물질의 비중은 얼마 되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중력을 통해 그 존재를 우리에게 드러내는 암흑 물질의 존재를 믿고 있다.

 

새로 발견된 왜소 은하들은 암흑 물질의 비중이 99%에 달할 만큼 높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암흑 물질 발견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작은 미니 은하이지만 그 안에 우주의 가장 중요한 비밀이 담겨있을지도 모른다.

 

 

나우뉴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312601019§ion=&type=daily&page=

 

 

 

 

 

외계위성(달)이 행성보다 생명체 살기에 더 적합

입력: 2015.03.12 18:38

 

 

 

 

우주에서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후보로 행성보다 오히려 달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미국 워싱턴 대학 천문학자 사라 발라드 박사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우주에서 생명체가 살기 좋은 지구형 행성을 찾는것 보다 외계 위성을 찾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우리 지구가 달을 위성으로 거느린 것처럼 태양계 내 다른 행성들도 많은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마찬가지로 태양계 밖 외계행성도 수많은 위성을 거느렸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어렵지 않게 발견되는 것이 '태양계의 큰형님' 목성처럼 덩치가 큰 '가스형 행성'이다.

 

문제는 수소와 헬륨으로 가득찬 가스형 행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가스형이 거느리고 있을 위성을 연구대상에 올리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지구처럼 항성과의 거리가 가깝지도 멀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골디락스존'(Goldilocks zone)의 위치에 있는 가스형 행성, 그리고 그 행성(모성)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위성이라면 생명체 서식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발라드 박사가 특히 주목하고 있는 행성은 지구에서 44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안드로메다 자리 웁실론d(Upsilon d)다. 웁실론d는 목성의 질량보다 10배나 큰 행성으로 특히 항성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골디락스존에 속해있다. 그러나 가스형으로 추정돼 생명체가 살 확률은 낮지만 그 궤도의 위성이 지구와 비슷한 질량을 가진 암석형이라면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그만큼 높아진다.

 

발라드 박사는 "만약 당신이 그 위성 위에서 하늘을 본다면 아마 활발하게 움직이는 구름을 볼 수도 있을 것" 이라면서 "이같은 위성이 생명체를 위한 우주의 지배적인 위치일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외계위성이 너무 작아 찾아내기 힘들다는 점에 있다. 인류가 케플러 우주망원경 덕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1000개를 넘어섰다. 확인을 위해 기다리는 후보도 4000개가 넘어 그간 수많은 성과를 올렸으나 아직 외계 위성은 발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수명이 끝난 케플러 우주망원경 대신 오는 2017년 발사될 차세대 행성 사냥꾼 TESS(Transiting Exoplanet Survey Satellite)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312601024&sect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