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천상의 나비…날갯짓하는 성운 포착 / 아기 별들의 ‘깃털 요람’ 내부 공개

 

 

 

[우주를 보다]

천상의 나비…날갯짓하는 성운 포착 (허블)

 

입력: 2015.08.27 10:36

 

 

 

 

마치 우주에 존재하는 나비가 날갯짓을 하는 것 같은 환상적인 모습의 성운 이미지가 공개됐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유럽항공우주국(ESA)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성운 'PN M2-9'의 모습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지구로부터 약 12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성운은 마치 날개를 펼친 것 같은 특이한 모습 때문에 '나비 성운' 혹은 '쌍둥이 제트 성운'(Twin Jet Nebula)으로 불린다.  

 

지난 1997년에도 허블우주망원경에 모습이 잡힌 M2-9는 이번에는 허블에 장착된 우주망원경영상분광기(STIS)의 관측 데이터가 합쳐져 보다 확실한 자태를 드러냈다. 이 성운이 무지개같은 빛을 발하며 날갯짓하는 이유는 서로 맞돌고있는 쌍성이 죽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두 개의 별들이 죽어가면서 거대한 가스와 물질들을 밖으로 방출하고, 뜨거운 별빛에 이 물질들이 이온화되면서 사진처럼 컬러풀한 성운을 만들어낸다. ESA측은 "격렬한 트윈 제트(twin jets)가 우주로 방출되는데 그 속도가 시속 100만 km에 달한다" 면서 "우리의 태양만한 작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죽어가면서 종종 이처럼 인상적인 모습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이어 "두개의 별이 만들어낸 이같은 가스상 원반은 명왕성 공전 궤도의 15배 정도까지 퍼진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이후 M2-9는 어떻게 될까? 최후의 예술작품을 남기며 죽어가는 M2-9는 결국 차갑게 식으며 쪼그라들면서 백색왜성(white dwarf)이 된다. 우리의 태양 역시 앞으로 70억 년 후면 수소를 다 태운 뒤 바깥 껍질이 떨어져나가 행성모양의 성운을 만들고 나머지 중심 부분은 수축한 뒤 지구만한 크기의 백색왜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ESA/Hubble & NASA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827601004§ion=&type=daily&page=

 

 

 

 

아기 별들의 ‘깃털 요람’…분자구름 내부 공개

 

입력: 2015.08.27 15:03

 

 

 

 

갓 태어난 아기 별들이 존재하는 거대 분자구름의 아름답고 복잡한 내부 모습이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은 24일(현지시간) 허셜 우주망원경을 사용해 지구로부터 약 2700광년 거리에 있는 ‘외뿔소자리 R2’라는 이름을 지닌 분자구름의 중심 영역을 세밀하게 관측한 사진을 공개했다.

 

외뿔소자리(Mon)는 오리온자리의 베틸기우스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시온을 이은 ‘겨울철 대삼각형’의 안팎에 걸쳐 있으며, 어두운 별이 많아 눈에 잘 띄지는 않는다. 하지만 장미성운 등 아름다운 천체도 존재해 천문학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ESA에 따르면, 외뿔소자리 R2의 밝은 중심 영역에는 이온화된 수소로 이뤄진 고온 상태의 거품 모양 구조가 다수 존재한다. 이는 1만 도에 이르는 고온으로 가열된 가스가 급격히 부푼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산한 것이다.

 

허셜 우주망원경의 관측으로 이런 구조는 10만~35만 년에 걸쳐 발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영역에는 4개의 거품 모양 구조를 볼 수 있으며 각각의 구조는 서로 온도가 달라 질량이 다른 별들과 관련이 있다. 또 그 구조를 감싸듯이 고밀도의 가스 구름이 확산하고 있다.

 

거품 구조를 갖는 가스가 고온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구름 형태로 확산하고 있는 가스 온도는 섭씨 영하 260도로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ESA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827601014§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