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우주를 보다] 나선은하에 똬리 튼 초거대 블랙홀 포착 / 빈부격차 블랙홀 발견

 

 

 

[우주를 보다]

나선은하에 똬리 튼 초거대 블랙홀 포착 (허블)

 

입력: 2016.01.10 17:33

 

 

 

 

지구에서 약 65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똬리를 뜬 블랙홀의 모습이 포착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처녀자리에 위치한 나선은하 NGC 4845와 그 중심에 위치한 초질량 블랙홀의 모습을 공개했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쏘아올린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NGC 4845는 중심부 빛을 중심으로 주변은 우주먼지로 가득차있다. 은하 중심부에 마치 뱀처럼 똬리를 틀고있는 것이 바로 블랙홀이다. 별을 포함한 주위 천체를 게걸스럽게 집어 삼키고 있는 이 블랙홀은 파괴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창조의 존재다.

 

블랙홀의 강한 중력 덕에 일정 정도 위치에 떨어져 있는 별들은 더욱 빠른 속도로 그 주위를 회전한다. 여러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하며 우리에게도 익숙해진 블랙홀은 모든 것을 흡수하고 파괴하며 절대 헤어나올 수 없는 존재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블랙홀은 주위에 인접한 가스와 먼지, 심지어 ‘재수없는’ 별까지 통째로 삼킨 후 마치 트림처럼 외부로 가스를 방출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은하 내에 새로운 별들이 태어나고 형성된다. 

 

NGC 4845처럼 대부분의 은하들은 그 중심부에 우리 태양 질량의 수백 만 배 심지어 수십억 배가 넘는 거대한 블랙홀을 품고 있다. 우리 은하에도 역시 태양 질량의 400만 배가 넘는 거대 블랙홀이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얌전하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10601019&section=&type=daily&page=

 

 

 

 

한쪽은 폭식 한쪽은 쫄쫄…빈부격차 블랙홀 발견

 

입력: 2016.01.10 10:32

 

 

보통 은하 중심에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 은하에서 물질의 밀도가 가장 높은 장소이기 때문에 블랙홀이 거대하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태양 질량의 100만 배에서 10억 배가 넘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형성된다. 천문학자들은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이 내놓는 X선 파장을 분석해서 거대질량 블랙홀의 존재와 특징을 연구한다.

 

은하 중심 블랙홀은 대부분 한 개지만, 종종 2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적어도 12개의 이중 중심 블랙홀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은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거대질량 블랙홀은 결국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충돌한 후 하나의 더 큰 블랙홀로 재탄생한다. 과학자들은 은하의 진화과정에서 이런 일이 자주 생겼다고 보고 있다.

 

콜로라도 대학의 줄리에 코머포드와 동료들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을 통해서 지구에서 10억 광년 떨어진 은하의 이중 중심 블랙홀을 찾아냈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새로운 블랙홀들은 이전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 블랙홀이 두 개라도 엄청난 양의 물질을 흡수하면서 에너지를 내놓기 때문에 둘 다 X선 영역에서는 매우 밝게 보인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새로운 블랙홀은 하나는 밝지만 하나는 상대적으로 어두웠다. (사진에서 분홍색)

 

이 관측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두 블랙홀 가운데 하나는 물질을 마구 폭식하는 반면 다른 쪽은 거의 굶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왜 블랙홀 사이에도 빈부 격차가 발생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현재 제안되는 가설은 은하 충돌 과정에서 한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다른 블랙홀에게 대부분 빼앗겼을 가능성이다. 다만 정확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나우뉴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10601008§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