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한국, 달 탐사 등 우주개발 / 화성까지 단 ‘한 달’만에 도달하는 방법은?

 

 

 

한국, 달 탐사 등 우주개발 탄력 받는다(종합)


송고시간 | 2016/02/29 15:54페이스북



한미 우주협력협정 타결…NASA와 첨단 기술 공유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우리나라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보유한 첨단 우주탐사 기술들을 공유하게 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한미 우주협력협정이 타결됐다고 29일 밝혔다. 양국은 이번에 협정의 구체적인 문구에 합의했으며 앞으로 각자 국내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협정을 체결한다.

 

한미 우주협력협정은 우주기술의 평화적 활용 목적에 따라 우주과학, 지구 관측, 지구과학, 항공, 우주 운영·탐사, 우주 교육, 우주기술, 안전 및 임무 보장 등 양국의 우주 협력 전반에 대한 법적·제도적 토대를 담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물품 및 기술 자료의 이전, 지적재산, 정보 공개, 인적 교류 및 시설 접근, 통관 및 물품의 이동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그동안 한미 간에 이행기관 간 약정 등의 형태로 산발적·간헐적인 우주협력 활동이 이뤄져 오긴 했지만, 양국 정부가 협정 형태로 협력의 틀을 마련한 것은 처음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협정 체결에 따라 현재 우리가 추진 중인 달 탐사 등 우주협력 분야에서 정보 공개나 인적 교류, 시설 접근 등이 좀 더 활성화되고 지속적·체계적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협력협정은 특히 양국의 우주개발 실무기관을 구체적으로 지정해 협력의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게 했다.

 

실무기관으로는 한국 측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상청,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미국 측의 NASA, 해양대기청(NOAA), 지질조사국(USGS)이 각각 지정됐다.

 

이번 협정 체결에 따라 세계 최고의 우주기술 강국인 미국과 본격적인 협력을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미래부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무인 달 탐사 등 우주개발 프로젝트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우주탐사는 성공률이 낮은 최첨단 기술"이라며 "우주협력협정은 우리가 독자적인 우주개발 능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우주협력협정은 2010년부터 추진되다 중단됐다. 그러나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때 양국 정상이 협정 체결 추진에 합의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현재 미국이 우주협력협정을 체결한 국가는 러시아, 캐나다, 프랑스,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노르웨이, 헝가리, 스웨덴 등 10개국이다.

 

특히 아시아 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우주협력협정으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다는 의미도 담겼다고 미래부는 밝혔다.

 

미래부는 앞으로 미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달 궤도선·착륙선 개발·발사, 위성 개발·운용, 화성·소행성 등 우주탐사 등 우주개발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주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sisyphe@yna.co.kr 2016/02/29 15:54 송고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6/02/29/0303000000AKR20160229119651017.HTML?template=2087


 

 

 

[아하! 우주]

화성까지 단 ‘한 달’만에 도달하는 방법은?

 

 

입력: 2016.02.29 13:11




화성이 지구를 대체할 ‘제2의 거주지’로 떠오른 가운데, 화성까지 도달시간을 불과 한 달로 앞당길 수 있는 과학적 이론이 공개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필립 루빈 박사 연구진은 지구에서 화성으로 이동하는 비행체의 크기를 매우 얇은 형태로 변경할 경우, 화성까지 닿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이론을 발표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기술을 이용해 화성까지 날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4~8개월 정도로 예상한다. 하지만 루빈 박사 연구진이 개발중인 추진 레이저 시스템이 현실화 될 경우, 불과 한 달이면 화성에 당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약 수g의 작은 물체라면 고작 30분만에라도 화성에 도착할 수 있다.

 

 

로켓에 장착되는 이 추진 시스템은 화력을 주로 이용하는 현재의 추진방식에서 벗어나, 전자기(電磁氣·전기와 자기장의 상호작용)적 특징을 가진 광자(입자)를 추진력으로 이용한다. 바람 등 저항요소가 없는 우주공간에서 전자기적 광자가 뿜어져 나오는 거대한 레이저빔이 우주선을 우주공간으로 밀어내는 원리다.

 

 

일종의 가속 기간을 거치면 1g 정도의 얇고 작은 물체는 빛의 26% 속도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인 우주선처럼 크기가 큰 100t 정도의 우주선이 움직인다면 분당 6만~7만㎞로 움직일 수 있다.

 

 

NASA가 발사한 무인우주선인 보이저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35년이었지만, 이 레이저빔을 장착한 우주선이 현실화되면 15년 만에 태양계를 벗어날 수 있다. 유인우주선이 화성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한 달 정도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루빈 교수는 “전자기적 광자 레이저 추진 시스템을 위한 기술은 이미 존재한다. 다만 그 크기를 확대해야만 우주 곳곳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라면서 “뿐만 아니라 속도를 높일수는 있지만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는 것도 숙제”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당장 유인우주선을 빠른 시간안에 화성 및 우주로 보내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크기가 작은 소형 탐사선을 태양계 바깥으로 보내는 실험에는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영국 행성간 협회(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저널에 소개됐다.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229601007&sect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