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주] 초고속도 별들은 모두 ‘우주의 도망자’
입력 : 2017.07.07 10:00
▲ 도망자 별의 상상도. (사진=Amanda Smith)
우리 은하에서 가장 빠르게 나는 별은 작은 이웃 은하를 탈출한 도망자라는 사실이 새 연구에서 밝혀졌다.
우리 은하에서 ‘초고속도’ 별로 알려진 1만개 가량의 별들은 모두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에서 태어난 별들이라고 과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이들 별은 처음에는 서로를 공전하는 쌍성계의 한쪽 별이었다. 그러나 폭발적인 분열로 인해 서로를 묶고 있던 중력이 끊겼으며, 그 속도로 자신들의 고향 은하를 탈출해 우리 은하로 틈입하게 되었다고 새 연구는 설명하고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연구자들은 슬로언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의 데이터를 이용해 은하 간을 여행하는 이 초고속도 별이 동반성의 폭발로 얼마만한 추진력을 얻어야 대마젤란 은하를 탈출할 있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리 은하에서 이런 초고속도 별을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숫자는 20개 정도밖엔 안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런 별이 적어도 수천 개는 될 거라고 예상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미 오래 전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초질량 블랙홀을 지나치면서 엄청난 중력 도움을 받은 초고속도 별들이 결국엔 우리 은하의 중력 사슬을 끊고 탈출할 거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그리고 어떤 초고속도 별들은 초신성 폭발로 추동력을 얻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적이 있다.
케임브리지대 천문학연구소 박사과정의 더글러스 바우버트 논문 대표저자는 “초고속도 별의 기원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미흡한 점이 많이 보인다”면서 “초고속도 별은 대부분 사자자리와 육분의자리에서 발견되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 이 은하수 사진의 왼쪽에 대-소 마젤란 은하가 보인다. 칠레에 있는
유럽 남방천문대에서 찍었다. (사진=Y. Beletsky/ESO)
연구자들은 아마도 대마젤란 은하의 운동에 그 원인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다. 한때 대마젤란 성운으로 불리기도 했던 이 은하는 현재 시속 144만km라는 맹렬한 속도로 우리 은하에 접근하고 있는 중이다. 초고속도 별들은 이 달리는 열차에서 뛰어내린 별들일 거라고 연구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또한 대마젤란 은하를 탈출한 수천 개의 별들이 우리 은하로 유입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만을 헤아리는 도망자 중성자별, 블랙홀까지 우리은하 속으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연구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바우버트 대표저자는 “우리는 곧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유럽우주국의 가이아 위성이 내년에 수십억 개의 별에 관한 데이터를 보내올 예정인데, 그 속에는 북반구의 사자자리와 육분의자리를 가로지르는 초고속도 별들의 궤적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왕립천문학회 월례보고’에 게재될 예정이며, 7일 잉글랜드 헐에서 열리는 국립천문학회에서 발표된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707601003§ion=&type=daily&page=
“화성 표면, 생명체 생존 부적합”(연구)
입력 : 2017.07.07 11:27
▲ “화성 표면, 생명체 생존 부적합”
화성에 존재하는 소금 광물이 세균을 죽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적어도 화성 표면에서는 생명체를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영국 에든버러대 물리천문학대학원의 찰스 콕겔 교수와 제니퍼 워즈워스 연구원은 화성에서 흔히 발견되는 ‘과염소산염’이 화성 환경 조건을 모방한 실험실 검사에서 기본 생명체 고초균(학명 Bacillus subtilis)의 배양균체를 살상했다고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과염소산염은 실온에서 안정적이지만 고온에서 활성화한다. 하지만 화성은 매우 추운 곳이어서 안정적일 것으로 생각돼왔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는 과염소산염이 열이 없는 화성 표면과 비슷한 조건에서도 자외선을 받으면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과염소산염은 몇 분 안에 세균을 살상했다”면서 “화성이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험을 진행한 워즈워스 연구원은 “우리가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길 원한다면 우리는 이번 결과를 고려해 이런 조건에 노출되지 않는 곳으로 여겨지는 지하에서 생명체를 찾는 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과염소산염은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인공적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화성에서는 더 풍부하게 존재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착륙탐사선 피닉스 랜더는 2008년 화성에서 과염소산염을 처음 발견했다.
또한 워즈워스 연구원은 “자외선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과염소산염이 고초균을 살상했다는 사실이 반드시 다른 모든 생명체도 비슷하게 사멸했다는 말은 아니다”면서 “이를 확인하려면 추가 실험을 거듭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과염소산염은 지금까지의 관측으로 화성 표면에 있는 여러 소금 물줄기에서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2015년 이 물줄기의 존재를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증거로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소물 물줄기는 지역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영역을 나타내지만 과염소산염이 들어있다면 세포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결과에도 약간의 좋은 소식은 있다.
로봇 탐사로 화성에 남겨지는 고초균 등 유기성 오염 물질은 장기간 생존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
또한 한때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대량으로 존재했으며 지금도 지하에 얼어붙은 상태로 존재한다는 가설은 여전히 널리 지지를 받고 있다. 액체 상태의 물은 우리가 아는 생명체의 필수 조건이기 때문이다.
사진=ⓒ tsuneomp / Fotolia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707601006§ion=&type=daily&page=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리 은하 안에서 토성만한 크기…역대 가장 작은 별 발견 (0) | 2017.07.12 |
---|---|
+ [우주를 보다] 숨바꼭질하는 은하 찾기 - 우주에서 피어난 파란 장미 (0) | 2017.07.11 |
+ 나사 인공위성에 포착된 화성의 외계인 비밀기지 발견 (0) | 2017.07.10 |
+ UFO 뉴스 / 초근접 촬영된 UFO 영상물 - 지구인 재난시 은하연합 소속 대피용 왕복선인가요? (0) | 2017.07.09 |
+ UFO 뉴스 / 지구촌 상공에 출현하고 있는 - UFO 목격 사진들과 비디오들 모음 - [7/5/2017 - 7/7/2017] (0) | 2017.07.08 |
+ UFO 뉴스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영상모음 [7/1 ~7/5/2017] (0) | 2017.07.06 |
+ 경제붕괴 적색경보 - 그림자정부 종말게임 - 그 일이 시작되었다, 붕괴가 주에서 주로 퍼지고 있다 (0) | 2017.07.05 |
+ 인류 재앙 - 지구의 자전이 멈춘다면? / 지축정립, 극이동에 관한 과학자들의 연구 총정리 / 지구 자기장 (0) | 2017.07.03 |
+ 새로운 형태 행성 발견… 슈퍼지구와 미니 해왕성을 보다 - 수천 개의 외계 행성 찾아내 (0) | 2017.07.03 |
+ [아하! 우주] ‘태초의 별들’은 어떻게 됐을까? - 운명이 밝혀졌다? (0) | 2017.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