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NASA 인공위성, 빙산 'A68' 분리 과정 포착 / “정자 수 감소로 인류 멸종 위기”

 

 

 

NASA 인공위성, 빙산 'A68' 분리 과정 포착


입력 : 2017.07.26.08:48



가운데에 위치한 A68 빙산은 왼편의 라르센C 빙붕과 선명한 선을 그리며 분리되어 있다. (사진=NASA)


가운데에 위치한 A68 빙산은 왼편의 라르센C 빙붕과 선명한 선을 그리며 분리되어 있다.

(사진=NASA)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자원 탐사 위성 `랜드샛(Landsat) 8호’가 얼마 전 일어난 초대형 빙산의 분리 과정을 포착해 25일(이하 현지시간) 공개했다.


지난 12일 남극에서 네 번째로 규모가 큰 '라르센C' 빙붕(氷棚)에서 거대한 빙산(氷山)이 떨어져 나갔다.


빙붕은 남극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300~900m두께의 얼음 덩어리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크기가 일년 내내 유지된다.


또 대륙과 떨어져 물에 떠 있는 얼음조각 중 물 위에 나타난 부분의 높이가 최소 5 m 이상인 것을 빙산이라고 하고 5m 이하는 유빙(遊氷)이라고 한다.


이 번에 분리된 빙산은 ‘A68’로 명명됐고 무게만 1조 톤에 달한다.


랜드셋 8호는 열화상 카메라 기술을 통해 A68를 계속 관찰해왔다.


바로 위 사진은 7월 21일 촬영한 것으로 빙산이 좌측의 라르센C 빙붕과 선명한 자국을 보이며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사진=NASA


사진=NASA


위 사진은 7월 14일부터 7월 21일까지 랜드셋 8호의 열화상 센서를 활용해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얇은 균열이 본격적으로 분리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NASA는 사진을 공개하며 A-68 빙산이 현재 해류의 영향을 받아 북쪽으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디넷코리아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726083249&lo=z38


 


“정자 수 감소로 인류 멸종 위기”


등록 :2017-07-26 11:26



지난 40년 동안 남성의 정자 수가 절반으로 줄어서, 이런 감소 추세라면 인류가 멸종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지난 40년간 남성 정자 수가 절반으로 감소

유럽 등 선진국 남성 정자 수 59.3% 감소

‘불임병원 찾는 남성들 포함 연구’ 반론도


지난 40년 동안 남성의 정자 수가 절반으로 줄어서, 이런 감소 추세라면 인류가 멸종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지난 40년 동안 남성의 정자 수가 절반으로 줄어서, 이런 감소 추세라면 인류가 멸종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남성의 정자 수가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인류가 멸종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남성의 정자 수와 관련한 200여개의 연구를 평가한 연구자들은 북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남성 정자 수가 40년 만에 절반으로 줄어든 것 같다고 밝혔다고 <비비시>(BBC)가 25일 보도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이스라엘 예루살렘대 전염병학자 하가이 레바인 박사는 북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성의 정자 농도가 52.4% 감소했고, 전체 정자 수도 59.3% 감소했다는 것이다.


레바인 박사는 “만약 우리가 사는 방식과 우리가 노출되는 환경 및 화학물질들을 바꾸지 않는다면, 미래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주 걱정된다”며 “궁극적으로는 재생산과 관련해 전반적으로 인류의 멸종일 수 있다”고 말했다.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의 남성들한테는 정자 수의 현저한 감소가 없었으나, 이 지역에 대해서는 실시된 연구가 훨씬 적었다. 레바인 박사는 궁극적으로는 이 지역에서도 정자 수가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연구에서도 선진국 국가들에서 정자 수의 급격히 감소가 파악됐다.


정자 수와 관련한 최대 연구인 이 평가는 1973년부터 2011년까지 결과를 취합한 것이다. 이 연구에 관여하지 않은 과학자들도 이 연구의 수준을 평가하면서도, 그런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정자 수 감소의 원인을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농약과 플라스틱에 쓰이는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비만, 흡연, 스트레스, 다이어트, 또 과도한 텔레비전 시청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레바인 박사는 정자 수가 왜 감소하는지 확실히 파악해야 하며, 이런 추세를 되돌릴 방안을 찾을 필요성이 절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예를 들어, 인공 화학물질에 대한 강화된 규제 등이 있고, 흡연과 비만을 제어할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류의 정자 수 감소라는 연구 결과를 회의하는 지적도 여전하다. 이런 연구 결과를 회의하는 학자들은 관련 연구들이 불임 병원을 찾은 남성들만을 포함한 상대적으로 소수의 남성들을 상대로 진행되어서, 정자 수가 적게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의 결함들을 많이 보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남성의 정자 수 감소 연구에 회의적인 태도를 표명했던 영국 셰필드대의 앨런 페이시 교수는 “인류의 정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지금까지 발표된 많은 연구을 결코 확신하지 못한다”면서도 “그러나 레바인 박사의 연구는 앞선 연구들의 결함 중 많은 것을 해결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페이시 교수는 이번 연구가 기존 결함들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며 연구 결과는 신중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논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해야 할 일이 아직 많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평가했다.


한겨레 신문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804329.html?_fr=mt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