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변에 나타난 괴생물체…정체 놓고 의견분분
입력 : 2017.09.14 13:54
▲ 허리케인 하비가 지나간 후, 불가사의한 바다 생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허리케인 하비가 휩쓸고 지나간 바닷가에 기이한 해양 생물체가 밀려 들어왔다.
13일(현지시간)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지난 주 미국의 비영리환경단체인 오도본 소사이어티(National Audobon Society)의 직원 프리티 데사이가 텍사스 시티 해변에서 신비한 생명체를 발견한 뒤 소셜미디어에 ‘신비한 생물의 정체를 알려달라’며 도움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데사이는 눈이 없고, 면도날같이 날카로운 이빨, 큰 원기둥 모양의 몸통을 지닌 죽은 바다 생물 사진을 SNS에 올렸다. 그는 “처음엔 깊은 바다에서 뭍으로 온 바다 칠성장어(sea lamprey)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가보니 아니었다. 누르고 뒤집어도 보았으나 막상 생각나는 바다 동물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정체가 궁금했던 그는 트위터를 통해 생물학자에게 도움을 청했고, 일부 생물학자들에게 그 바다 괴물이 뱀장어의 일종이라는 응답을 얻었다. 그중 ‘멕시코만에 사는 송곳니 뱀장어(fangtooth snake-eel)다’라는 의견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 생물학자들은 바다 생물의 입과 꼬리를 놓고 어종을 식별했다.
대황 뱀장어(tusky eel)로도 불리는 송곳니 뱀장어는 해저 약 30~90미터에 서식하는 어종으로 가끔 얕은 물가로 나오는 것 외에는 잠복하며 지낸다.
스미스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케네스 타이 박사는 “죽은 생명체가 대황 뱀장어로 여겨지지만, 이들은 눈을 가지고 있고 크기도 작아서 그가 발견했을 때쯤 이미 부패됐을 수 있다”며 “정원 장어(garden eel) 혹은 붕장어(conger eels)와 같은 또 다른 뱀장어과 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큰 입을 가지고 있단 점으로 봐서는 큰 이빨붕장어(Bathyuroconger vicinus) 아니면 제노미스택스 붕장어(Xenomystax congroides)일지도 모른다. 이들 모두는 텍사스에서 벗어난 지역에서 나타나며 큰 송곳니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며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처럼 많은 전문가들이 생물체가 뱀장어의 일종이란 점에는 동의했으나 무슨 종류인지 정확하게 쐐기를 박진 못했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914601011§ion=&type=daily&page=
기이한데 아름다운…3m 바다 생물체 발견
입력 : 2017.09.14 18:14
▲ 기이한데 아름다운…3m 바다 생물체 발견
호주에서 투명하고 긴 몸통을 가진 기이한 바다 생명체가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데일리메일 호주판은 14일(이하 현지시간) 호주 퀸즐랜드주(州) 포트 더글러스 해안 바다에서 ‘바다의 유니콘’으로 알려진 해양 생물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현지 전문 잠수부 제이 윙스는 지난 7일 해안 바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스쿠버다이빙을 하던 중에 이 생물을 발견하고 그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했다. 지금까지 바다에서 한 번도 본적이 없던 생명체였다.
▲ 이번에 발견된 불우렁쉥이는 길이가 3m 정도였다.
이후 육지로 올라온 그는 즉시 자신이 촬영한 사진 몇 장을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공개하고 네티즌들에게 ‘누가 이 분홍색 생명체의 이름을 아느냐? 길이가 3m에 달한다’는 글을 남겼다.
그러자 이 게시글은 즉시 여러 사람의 관심을 끌었고 그중 한 여성 네티즌이 그에게 이 생물체는 ‘피로솜’(pyrosome)이라고 설명했다.
피로솜은 우리 말로 불우렁쉥이를 뜻하는데 일종의 젤라틴성 플랑크톤 개충(zooid) 수억수천 마리가 한데 모여 각각 콜로니를 이루고 또 이들이 모여서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처럼 보인다. 길이는 몇 m에서 몇십 m까지 다양하다.
특히 피로솜은 실제로 여겨지지 않을 만큼 기이해 보여서 ‘바다의 유니콘’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또한 그 모습이 칼로 썰기 전 피클과 닮았다고 해서 ‘바다의 피클’로도 불린다.
실제로 잠수부가 촬영한 사진을 보면 투명하고 기다란데 햇살에 반사돼 파란색과 분홍색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어 몽환적이기까지 하다.
이에 대해 사진을 촬영한 잠수부는 “그 생명체는 물속에서 꽤 선명한 분홍색이었다”면서 “그런데 그 모습이 사진에서는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 불우렁쉥이는 몇 년 전 국내에서도 소개됐다. 당시 발견된
불우렁쉥이는 길이가 30m에 달해 ‘30m 바다 괴물’로 불렸다.
한편 피로솜 또는 불우렁쉥이로 불리는 이 생명체는 몇 년 전 국내에서도 몇 차례 소개된 바 있다. 당시 발견됐던 생물체는 길이가 30m에 달해 이른바 ‘30m 바다 괴물’이라고 불렸다.
사진=ABC 스쿠버다이빙 포트 더글러스/페이스북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914601021§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17. 9. 23 휴거 시점? [마태 계시록 - 마가. 누가. 요한] - 7년 환난 . 하늘의 큰표적 분석 (0) | 2017.09.16 |
---|---|
+ 국가 부채가 20조 달러(약 2경2,656조원)를 넘어선 미국 - 달러결재 안받겠다 (0) | 2017.09.16 |
+ [최강태풍 탈림북상 ] 최대풍속 200km 어마와 동급 - 제주·일본,중국비상! (상륙 동영상) (0) | 2017.09.15 |
+ 北 미사일 또 발사? 진짜? - 美 "중거리탄도미사일··· 日··· 등교 혼란·열차 운행중단 (0) | 2017.09.15 |
+ 中, 초당 48m 초강력 쌍태풍에 초긴장… 동부일대 20만명 긴급 대피 (0) | 2017.09.14 |
+ [핵태풍 '어마'보다 더 무서운것] 미국을 습격한 허리케인보다 더 무서운 사태 (0) | 2017.09.13 |
+ 45명 사망 허리케인 '어마' 는 어마어마 했나 ? - 美 플로리다에 불어닥친 피해 현장 [동영상] (0) | 2017.09.12 |
+ 올 추석부터 명절 3일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 10 월 3 ~ 5 일 (0) | 2017.09.12 |
+ 멕시코 강진 발생 전,후, 하늘에서 목격된 섬광 - 당시 긴박했던 현장 [동영상] (0) | 2017.09.11 |
+ 2017년 9월 23일 휴거? - 요한계시록 [12장 종합편] 해달별들의 큰표적, 해산의 고통, 7년 환난, 신세계질서 (0) | 2017.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