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주]
작은 별 주위 도는 목성만한 거대 행성 발견
입력 : 2017.11.01 15:18
기존의 행성 형성 이론에 '도전장'을 던진 희한한 거대 행성이 발견됐다.
최근 영국 워릭대학 연구팀은 목성만한 크기의 거대한 외계행성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6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행성의 이름은 NGTS-1b. 이 행성은 목성같은 가스행성이지만 흥미롭게도 태양 크기의 절반만한 작은 별 NGTS-1의 주위를 돈다. 더욱 놀라운 점은 두 천체사이의 거리다.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와 비교하면 3%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바짝 붙어있다. NGTS-1의 공전주기는 지구시간 기준으로 불과 2.5일.
NGTS-1b의 존재는 기존의 행성 형성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힘들다. 우리가 사는 태양계는 태초에 우주의 가스물질로 이루어진 성운이 자체 중력에 의해 수축하면서 그 중심에 태양이 형성되고 남은 물질이 뭉쳐져 행성이 됐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이는 여러 이론 중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이지만 물론 증명할 수 없는 가설이다.
논문의 선임저자 다니엘 베일리스 박사는 "NGTS-1b 같은 거대 행성이 이렇게 작은 별 주위에 존재할 것이라 생각치 못했다"면서 "이 두 천체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됐는지 논쟁거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거대한 행성을 거느린 NGTS-1은 태양 질량의 40% 미만의 작은 별인 적색왜성이다. 크기도 작고 밝기나 표면온도도 낮지만 우리 은하 별 중 8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디 흔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칠레 북부 ESO 파라날 천문대에 위치한 차세대 식관측 망원경(NGTS)으로 NGTS-1b의 존재를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행성이 별 앞으로 지날 때 별의 밝기에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 현상을 포착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한 것.
연구에 참여한 피터 휘틀리 교수는 "NGTS-1b는 거대한 행성이지만 모성이 너무 작고 희미해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면서 "우주에 적색왜성이 흔하게 존재하는 만큼 수많은 거대 행성이 속속 발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101601010§ion=&type=daily&page=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토성의 달 ‘엔셀라두스’ 생명있을 가능성 더 커졌다 / 프록시마 b별, 고리가 있다 ? (0) | 2017.11.09 |
---|---|
+ 110억 광년…역대 가장 먼 나선은하 발견돼 [아하! 우주] (0) | 2017.11.07 |
+ 유령 마을?…우주 지배하는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0) | 2017.11.06 |
+ UFO 뉴스 [11/1 ~ 11/5/2017]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7.11.06 |
+ UFO 초강력 빔으로 분해시키는 무인기 / 초대형 고대 지하 도시 발견 (0) | 2017.11.05 |
+ UFO 뉴스 [10/26 ~ 10/31/2017]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7.11.01 |
+ "北 핵실험후 4차례 지진, 풍계리 핵실험장 붕괴로 200여명 사망 가능성" - TV아사히 (0) | 2017.10.31 |
+ ‘선크림’이 눈처럼 내리는 ‘외계행성’ 발견 (0) | 2017.10.30 |
+ 으스스한 천체사진… ‘우주판 핼러윈 데이’ - 여러 성운들의 모습 (0) | 2017.10.29 |
+ [IF] 별이 충돌했다…金나왔다, 뚝딱 / 태양계 밖 ‘외계에서 온 천체’ 첫 포착 (0) | 201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