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런던 밤하늘 수수께끼 발광체…유성? 우주 파편?. - 외계인이 타고 있는 UFO ?

 

 

 

런던 밤하늘 수수께끼 발광체…유성? 우주 파편?


입력 : 2017.11.22 16:00




▲ 런던 밤하늘 수수께끼 발광체…유성? 우주 파편?


수수께끼의 발광체가 영국 런던 상공을 가로지르는 순간이 인근 공항 감시 카메라에 찍혀 화제가 되고 있다.
21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지난 19일 런던 서부 힐링턴 자치구 히스로 국제공항이 운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신비한 발광체가 찍혔다. 또한 발광체가 사라진 직후 여객기 한 대까지 지나가 충돌 위험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 유성으로 보이는 발광체가 지나간 직후 여객기 한 대가 지나갔다.


이날 밤하늘에 빛줄기를 만들며 순식간에 사라진 물체를 두고 유성이나 우주 잔해물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 발광체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주로 유성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빛으로 된 꼬리를 만들었다.


해당 영상은 영국 항공 웹사이트 ‘에어라이브’(Airlive)에 의해 유튜브 등을 통해 공유됐는데 이들은 발광체가 유성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현지 한 전문가 역시 영상 속 발광체가 유성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우주 잔해물을 주로 연구하는 사우샘프턴대학의 클레먼스 럼프 연구원은 “내 생각으론 해당 물체는 지름이 약 1m 정도 되는 커다란 유성 같다”면서 “유성이 떨어지는 현상은 1년 중에 셀 수 없이 일어나지만 이렇게 카메라에 찍히면 장관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유성은 항공기를 운항하는 고도보다 훨씬 높은 30~70㎞ 상공에서 주로 나타나 이번 역시 직접적인 위험은 없었을 것”이라면서 “더 큰 물체로는 2013년 첼랴빈스크 운석 등이 있는데 이런 유성은 지면에 손상을 입힐 만큼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공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영상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널리 공유됐는데 일부 네티즌은 유성이나 운석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또 다른 네티즌들은 외계인이 타고 있는 미확인비행물체(UFO)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이 물체가 지구 궤도에 있던 수많은 우주 파편 중 하나가 떨어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실제로 우리 지구 주위에는 수많은 인공 파편이 존재하는데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시속 2만 8000㎞의 속도로 공전하고 있는 50만 개가 넘는 우주 쓰레기를 추적하고 있다. 하지만 NASA가 추적하지 못하는 우주 쓰레기들도 많은 데 그 수는 1억500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ISS에서 촬영된 영상에 수수께끼의 물체가 포착됐다. 우주비행사는

이를 두고 대기권으로 진입하는 유성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수께끼의 유성이 화제를 모은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인 이탈리아의 우주비행사 파올로 네스폴리가 촬영해서 공개한 영상에는 수수께끼의 물체가 찍혀 있는데 그는 지구의 대기권을 향해 유성이 떨어지면서 불꽃을 일으킨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NASA는 물론 외계인 마니아들은 이 설명에 동의하지 않았다.









[출처: 서울신문 니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122601015§ion=&type=daily&page=




[우주를 보다]

카시니호의 ‘마지막 토성 위성 사진’ 공개


입력 : 2017.11.22 15:37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남긴 ‘마지막 레아’의 모습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카시니호가 촬영한 토성의 위성 레아(Rhea)의 생생한 표면이 담긴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2일 카시니호가 촬영한 것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중 마지막으로 포착한 레아의 모습이다. 카시니호와 레아와의 거리는 37만㎞로, 언제 다시 인류의 피조물이 가까이 다가가 이처럼 토성 위성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을 지는 기약이 없다.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위성인 레아는 직경이 1527㎞로 지금까지 발견된 ‘달부자’ 토성의 위성 중 타이탄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우리의 달처럼 얼굴 곳곳에 흉터(크레이터) 자국이 가득하지만 대부분 표면이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


한편 지난 1997년 발사된 카시니호는 20년에 걸친 토성 탐사를 마치고 지난 9월 15일 토성 대기권에서 산화했다. 특히 카시니호는 불타는 마지막 순간까지 햇빛이 닿지 않는 토성의 어두운 면 사진과 함께 토성 대기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는 마지막 임무를 마쳤다.


사진=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출처: 서울신문 니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122601012§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