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 흥분시킨
'태비의 별' 미스터리…"외계물체는 없었다"
송고시간 | 2018/01/04 11:08
특이하게 밝기 줄어 외계문명설 등 제기…연구진 "외계구조물 아닌 먼지 때문"
'태비의 별' 일러스트[로이터=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특이한 방식으로 빛을 발하고 희미해져 거대한 외계 구조물이 주위를 도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불거진 이른바 '태비의 별'의 미스터리가 조금씩 풀리고 있다.
3일(현지시간) AFP·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항성 'KIC 8462852'를 관찰해온 과학자들은 이날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에 발표한 연구에서 이 항성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외계 구조물이 아닌 먼지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KIC 8462852' 항성은 2015년 처음 케플러 망원경으로 이 별을 발견한 태비타 보야잔 미 루이지애나 주립대 교수 이름을 따 '태비의 별'로 불렸다.
태양계에서 약 1천280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 별은 주기적으로 밝기가 감소하는 다른 별과 다르게 밝기가 최대 22%까지 불규칙하게 줄어들었다.
거대한 물체가 앞을 지나지 않으면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어서 그 이유를 둘러싸고 외계 문명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됐다.
이에 연구자들은 2016년 3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마우이 섬과 카나리아 제도에서 천체망원경으로 '태비의 별'을 관찰했다.
거대한 불투명 물체가 별 앞을 지나면 모든 색이 똑같이 어두워져야 하지만, 관찰 결과 붉은 별빛이 푸른 별빛보다 덜 어두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야잔 교수는 "새로운 데이터는 다른 색의 빛이 각각 다른 강도에서 차단되는 것을 보여준다"며 "따라서 우리와 별 사이를 지나는 무언가는 행성이나 외계 구조물 같은 불투명 물체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현상이 먼지가 별빛에 미치는 효과와 일치해 '태비의 별'이 어두워지는 가장 유력한 원인이 먼지라고 판단했으나, 정확한 이유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연구에 참여한 제임스 라이트 미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수는 "먼지가 어디에 있는지는 아직 100% 확신하지 못하지만, 별 주위 어딘가에 있는 것 같다"며 이 먼지들이 "충돌하는 소행성이나 혜성"에서 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rice@yna.co.kr 2018/01/04 11:08 송고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8/01/04/0619000000AKR20180104069600009.HTML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충격영상] 하늘을 나는 “미확인 비행생물(EBANI, 에바니)” 출현! - 미국에서 목격급증! (0) | 2018.01.08 |
---|---|
+ [충격] 달에는 2억5천만명의 사람들이 있다! - 전 CIA요원 충격폭로! - 외계인 기지의 비밀. (2) | 2018.01.07 |
+ 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들 top 10 - 얼마나 거대한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우주 여행 동영상) (0) | 2018.01.06 |
+ UFO 뉴스 [1/1 ~ 1/5/2018]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8.01.05 |
+ [지구를 보다] NASA가 포착한 아름다운 지구 사진 18선 - 멋진 모습 공개 (0) | 2018.01.04 |
+ “안녕~ 지구야 달아!” - 소행성 탐사선의 이별 사진 [우주를 보다] (0) | 2018.01.03 |
+ NASA ‘쌍둥이 지구’ 프록시마 b에 생명체 존재 탐사 검토 시작 (0) | 2017.12.31 |
+ UFO 뉴스 [12/26 ~ 12/31/2017]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7.12.31 |
+ 길이 600만 광년 거대 ‘칫솔 은하단’ 포착 [아하! 우주] (0) | 2017.12.30 |
+ UFO 뉴스 / 경주 하늘에 나타난 UFO / 자유의 여신상에 나타난 외계 모선과 UFO 정찰선 (0) | 2017.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