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국가비상사태 선포…대피작전에 함정도 급파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호주 산불사태 속 시드니 팬리스 48.9℃…"전세계 최고온"
송고시간 | 2020-01-04 22:36
NSW주 남동부·빅토리아주 등 산불 지역·캔버라도 폭염
(시드니=연합뉴스) 정동철 통신원 = 대규모 산불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된 가운데 4일(현지시간) 시드니의 팬리스가 이날 '지구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기록됐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산불 연기로 붉게 변한 호주 NSW주 노스 나우라 지역의 하늘
[EPA=연합뉴스]
이날 오후 4시 시드니 서부 팬리스는 섭씨 48.9도로 광역 시드니에서 기온을 측정하기 시작한 1939년 이래 가장 온도가 높았다고 호주 채널 9 방송이 전했다.
매일 세계 기후 정보를 발표하는 '월드 웨더 투데이'(www.worldweathertoday.info)에 따르면, 4일 지구상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지역은 1위 팬리스를 비롯해서 2위 나란데라 공항 등 10위까지 모두 호주가 차지했다. 호주 전 지역이 지구에서 가장 무더운 하루를 보낸 셈이다.
3주 이상 산불이 타고 있는 NSW주 사우스 코스트의 나우라 등 여러 지역도 시속 35∼45㎞의 강풍에 마른번개와 함께 섭씨 40도가 넘는 폭염이 겹쳐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호주 기상청(BOM) 제인 골딩 NSW주 책임자는 "화재 위험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에서 길고도 무더운 하루를 맞이했다"면서 "기온이 내리면서 발생하는 뇌우·번개 때문에 추가로 산불이 발생할 위험도 크다"고 경고했다.
호주 산불 연기에 오염된 공기 때문에 마스크를 쓴 호주인 모자
[로이터=연합뉴스]
화마가 기승을 부리는 빅토리아주 동부 이스트 깁스랜드 지역도 최고 기온이 섭씨 45도에 달했다.
앤드루 크리스프 빅토리아주 응급관리청장은 산불 발생 위험이 큰 고온 건조한 날씨를 우려하면서 "현재 진행중인 산불에만 너무 집중할 것이 아니라 향후 새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산불을 미리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호주 연방 수도인 캔버라도 이날 섭씨 43도를 기록, 지금까지 최고 기온이었던 1968년 섭씨 42.2도를 경신했다.
시드니와 캔버라 등 산불의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난 도시 지역도 산불 연기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해졌고 폭염까지 겹쳐 주민들이 되도록 실외 활동을 자제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dcj@yna.co.kr>2020/01/04 22:36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4052200093?section=international/all
화마에 핏빛으로 물든 호주 하늘··· "사상 최악의 날"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괴질 ? / 中 '춘절 대이동' 앞두고 원인불명 폐렴 확산에 당국 비상 - 병명 최종 확정에 1~2주 걸릴듯 (0) | 2020.01.06 |
---|---|
+ [호주 최악의 산불현장 영상] 피빛으로 물든 하늘, 사방이 불바다…소방관이 직접 찍은 영상 (0) | 2020.01.06 |
+ 일촉즉발, 3차 대전 도화선? / 美·이란 군사충돌 임박에 핵위기까지··· 중동 격랑속으로..,이란, 핵합의 탈퇴 (0) | 2020.01.06 |
+ 이란 군부실세 사령관 제거에 '붉은깃발', 美 "전례없는 반격"…국제사회 외교전도 분주 (0) | 2020.01.05 |
+ 2020년 대에 발생할 대사건 4가지 시나리오는? / 김정은사망, 백두산폭발, 일본 대지진, 중국붕괴 (0) | 2020.01.05 |
+ 美 공습에, 이란 군부실세 사령관 폭사…무력충돌 '일촉즉발' 이란 '가혹한 보복' 예고 (0) | 2020.01.03 |
+ '지구온난화 지속되면 히말라야 약 5,000곳의 호수 범람…대홍수 발생' (0) | 2020.01.03 |
+ [영상] 인도네시아, 폭우와 홍수로 60명 사망…쥐·바퀴벌레도 살겠다고 아등바등 (0) | 2020.01.03 |
+ 日 동부 해상서 5.9 지진…쓰나미는 없어 / 美 LA 인근 애너하임서 3.3 지진 (0) | 2020.01.03 |
+ [영상] 호주 초대형 산불 위기로…사망 8명 등 피해 확산. 국가비상사태 선포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