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호주산불] ② '끌수는 있을까' 공포감··· 피해 최소화 안간힘
[최악의 호주산불] ③ 떼죽음 넘어 멸종위기 직면··· 코알라의 비극
[최악의 호주산불]
①절절 끓는 불바다…서울 100배 태운 재앙
송고시간 | 2020-01-07 15:00
작년 9월부터 남동부 해안 중심으로 최소 600만 ㏊ 잿더미
폭염·건조·돌풍 '겹악재'에 훨훨…인력으로 끄기엔 역부족
(시드니·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정동철 통신원 = 호주 남동부 해안을 중심으로 다섯 달째 지속된 산불로 서울 면적(605㎢=약 6만ha)의 약 100배인 600만㏊가 잿더미로 변했다.
호주, 절절 끓는 불바다…서울 100배 태운 재앙
[EPA=연합뉴스]
수백 개의 산불이 불바다를 이루고, 화염 토네이도까지 만들어 냈다. 산불 연기로 하늘은 핏빛으로 물들었고, 이웃 뉴질랜드의 빙하는 재가 덮여 갈색이 됐다.
사방이 불바다…소방관이 직접 찍은 호주 산불 현장
/ 연합뉴스 (Yonhapnews) 유튜브로 보기
시드니 서부 팬리스 기온이 역대 최고인 섭씨 48.9도를 기록하는 등 호주 대부분 지역이 절절 끓고 돌풍까지 불면서 불쏘시개 역할을 하고 있다.
산불 연기 입자로 붉게 보이는 호주 하늘
[로이터=연합뉴스]
◇ 피해 규모와 현황 = 7일 호주 현지 매체와 외신을 종합해보면 퀸즐랜드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NSW)에서 작년 9월 첫 째주 이미 100여건의 화재가 발생해 대재앙을 예고했다.
특히 작년 9월 2일 골드코스트 인근 사라바에서 시작된 산불이 빠르게 번졌고, 10월 초부터 이번 산불 사태가 본격화됐다. 최근 NSW주와 빅토리아주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NSW주와 빅토리아주 등 600만 ㏊ 이상 태워
[afac]
산불 피해 면적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블룸버그 통신은 NSW주에서만 500만 ㏊가 소실됐다고 보도했고, 로이터 통신은 NSW주와 빅토리아주에서 600만 ㏊ 이상이 탔다고 전했다.
호주 매체인 나인 뉴스는 호주 전역에서 590만 ㏊, 세븐 뉴스는 600만 ㏊를 태웠다고 각각 보도했다.
호주 남동부 해안 덮은 산불 연기 위성사진
[AP=연합뉴스]
산불 지역 주민 10만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고, 사망자는 최소 24명, 실종자도 20명이 넘는다. 주택 수천 채가 불에 탔다.
캥거루와 코알라 등 야생동물 5억 마리 이상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산불은 호주 관광 산업에도 직격탄을 날렸다. 주호주 미국 대사관은 자국 여행객에게 지난 4일까지 남동부 해안을 벗어나라고 대피령을 내렸고, 각국 관광객들이 호주에서 발을 돌리고 있다.
호주 캔버라 대기오염지수 세계 최악
[에어비주얼 사이트]
산불 현장에서 날아온 재와 연기에 따른 고통도 크다.
에어비주얼(Air visual)에 따르면 6일 오후 기준으로 호주 수도 캔버라의 대기오염지수(US AQI)가 285를 기록, 전 세계 95개 주요 도시 중 최악으로 꼽혔다.
시드니 등 대도시는 '회색 도시'로 변했고 호흡기 질환자가 속출했으며 일부 학교에는 휴교령이 내려졌다. 산불 재가 식수를 오염시킨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불 재는 이웃 나라인 뉴질랜드까지 날아가 빙하를 덮고, 관광용 헬기를 띄울 수 없을 정도로 시야를 가렸다.
시드니 인근 주요 식수 취수시설의 오염 가능성도 제기됐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재가 식수 공급시설에 흘러 들어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산불 재로 뒤덮인 뉴질랜드 프란츠조셉 빙하
[로이터=연합뉴스]
◇ 대형 산불 원인은 = '폭염과 가뭄, 돌풍'은 이번 산불 사태를 키운 세 가지 원인으로 꼽힌다.
본래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대륙 중 하나로 연평균 강우량이 600㎜ 미만이다.
남반구라서 9∼11월이 봄이고, 12월∼2월이 여름인데, 작년 9월 초봄부터 기온이 30도가 넘는 등 이상고온 현상을 보였다.
폭염에 예년보다 심한 가뭄이 이어지니 나무가 물을 빨아들여 땅이 더 메마르고, 마른벼락 등 자연발화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시속 35∼45㎞의 돌풍까지 부는 등 악재들이 겹치면서 한 번 시작된 산불이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작년 12월부터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기온은 더 올랐고, 이달 6일 기준으로 호주 곳곳이 45도 안팎을 기록해 지구상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지역 1∼10위를 모두 차지했다.
산불 기자회견하는 모리슨 호주 총리
[EPA=연합뉴스]
이 같은 이상고온의 원인으로는 인도양 동·서안 해수면 온도에 현격하게 오르거나 내려가면서 발생하는 '다이폴(쌍극)' 현상이 지목된다.
인도양 동·서안 온도 차가 60년 만에 가장 뚜렷해 인도양 서쪽인 동아프리카엔 평균보다 많은 비가 내리고, 동쪽 연안의 호주는 폭염과 가뭄이 심해졌다고 기상학자들은 분석했다.
호주의 환경운동가들은 지구 온난화가 다이폴 현상 심화를 부추겼다며 석탄 산업 축소를 요구했지만,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무모하다', '일자리를 파괴한다'는 등 이유로 일축했다. 호주는 전 세계 석탄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모리슨 총리는 석탄 산업을 옹호하고, 지난 연말 하와이로 휴가를 다녀온 사실이 알려지면서 산불 피해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거센 비난을 받았다.
호주 해군함정으로 대피하는 산불 피해지역 주민들
[EPA=연합뉴스]
◇ 산불은 언제쯤 꺼질까 = 호주 정부는 산불이 너무 광범위해 인력으로 끄기는 어렵다고 보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중앙 정부는 예비군 최대 3천명에게 동원령을 내려 화마와 싸우고 있는 의용 소방대를 돕도록 배치했다.
헬리콥터로 산불 대피하는 호주 아기
[AP=연합뉴스]
또, 불길을 피해 해안가로 달아난 주민들을 구하기 위해 함정, 항공기, 헬기 등 군 자산을 동원하고, 다른 나라의 도움도 적극적으로 받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는 물론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온 소방대원들이 호주 산불 진화에 뛰어들었지만 역부족이다.
산불로 불에 탄 호주 빅토리아 건물
[EPA=연합뉴스]
호주 정부와 국민은 비가 오길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지난해 서울 면적의 14배를 태운 인도네시아 산불도 우기 장마가 시작되면서 꺼졌다.
다행히 5일 오후부터 빅토리아주 등에 비가 내렸으나 산불을 끄기에는 미약한 양이었다.
호주 재난 당국은 충분한 양의 비를 기다리면서도, 그간 경험에 비추어 폭염과 가뭄 뒤에 폭우와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며 또 다른 재앙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초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발생한 산불로 173명이 사망했을 때 NSW주에서는 시간당 200㎜의 폭우가 쏟아져 물난리가 났었다.
호주 화마가 쓸고 지나간 자리
[AFP=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noanoa@yna.co.kr>2020/01/07 15:00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6116800104?section=international/all
산불에 탄 가축 사체 10만 구 방치...호주 당국
“대규모 무덤 필요해”
입력 : 2020.01.07
▲ 호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피해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와 양을 포함한 가축 10여 만 마리가 불에 타 죽은 채 방치 돼 있다
지난해 9월 시작된 대규모 산불로 호주 전역에서 약 5억 마리에 달하는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가 희생된 가운데, 호주 당국은 불에 탄 채 방치된 양과 소 등 10만 마리의 가축 사체를 매장할 대규모 무덤을 팔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호주판 데일리메일 등 해외 언론에 따르면 데이비드 리틀프라우드 호주 농무장관은 호주 산불로 목숨을 잃은 양과 소 등 가축이 10만 마리 이상이며, 사체를 처리하지 않을 경우 잠재적인 생물학적 위협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가축 사체 10만 여 구를 처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했으며, 사체를 매장할 대규모 무덤을 만들기 위해 예비군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리짓 멕켄지 농업부 장관은 화재로 인해 부상을 입은 가축을 진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안락사시킬 수 있도록 산불 피해 지역에 수의사 100여 명을 파견했다.
멕켄지 장관은 “가축들이 산불 열기로 인한 스트레스나 연기 흡입 등으로 피해가 늘고 있으며, 전국의 가축이 황폐화 될 수도 있다”면서 “사체를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주일 이내에 산불이 거쳐간 지역에 도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개된 산불 피해 지역의 모습은 흡사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양과 소 등 셀 수 없이 많은 가축 사체가 길거리에 아무렇게나 버려져 있지만 워낙 피해 지역이 광범위하다 보니 사체 처리 우선 지역을 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치솟고 있는 현지의 기온이다. 산불 피해가 큰 지역 중 하나인 뉴사우스웨일스 주 산불방재청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지난 4일 시드니 기온은 섭씨 50℃까지 치솟았다.
고온 현상이 10일까지 이어진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방치된 가축 사체의 부패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짙어지고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107601011§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상] 우크라 여객기 이란 테헤란 부근서 추락…'탑승객 176명 전원 사망' (0) | 2020.01.08 |
---|---|
+ [속보 영상] '이란 미사일, 이라크 에르빌 미군기지 타격' - 美 우방에 강력 경고 (0) | 2020.01.08 |
+ 파푸아뉴기니 6.0 지진 / 푸에르토리코 '102년 만에 최강' 6.4 연쇄 지진…1명 사망·건물 붕괴 (0) | 2020.01.08 |
+ 속보 / 미국 - 이란 충돌 - 보복공격 개시…미국 '이란 공격, 수십 곳에서 진행 중' (0) | 2020.01.08 |
+ 인니 북서 해상 6.2 지진…또 푸에르토리코서 6.6 강진…연말부터 연일 '흔들'흔들' (1) | 2020.01.07 |
+ [영상] 이례적 폭설에 베이징은 '겨울왕국'··· 도로 정체·항공편 결항도 (0) | 2020.01.06 |
+ 괴질 ? / 中 '춘절 대이동' 앞두고 원인불명 폐렴 확산에 당국 비상 - 병명 최종 확정에 1~2주 걸릴듯 (0) | 2020.01.06 |
+ [호주 최악의 산불현장 영상] 피빛으로 물든 하늘, 사방이 불바다…소방관이 직접 찍은 영상 (0) | 2020.01.06 |
+ 일촉즉발, 3차 대전 도화선? / 美·이란 군사충돌 임박에 핵위기까지··· 중동 격랑속으로..,이란, 핵합의 탈퇴 (0) | 2020.01.06 |
+ 이란 군부실세 사령관 제거에 '붉은깃발', 美 "전례없는 반격"…국제사회 외교전도 분주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