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하 최소 36개 외계문명 존재"…너무 멀어 소통 불가
송고시간2020-06-16
이율 기자
생명체 형성에 40억~55억년 걸린다는 가설 적용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지구가 속한 우리은하에 외계문명이 최소 36개 이상 존재할 것으로 추산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들 외계 문명과 지구의 거리가 너무 멀어 쌍방향 소통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의 실제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은하 사진
[EPA=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CNN방송 등에 따르면 영국 노팅엄대 천체물리학과 크리스토프 콘슬라이스 교수와 톰 웨스트비 엔지니어링학과 교수는 이날 전체 물리학 저널을 통해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구와 같이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발달할 환경이 갖춰진다면, 은하계 내 다른 곳에서도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생겨났을 것이라는 게 이들의 가정이다.
이들은 행성에서 생명체가 형성되는 데는 최소 40억년, 최대 45억∼55억년의 세월이 걸렸을 것이라는 추산을 '우주생물학의 코페르니쿠스적 한계의 법칙'이라고 명명하고 활용했다.
생명체가 형성되는 시간을 추산하기 위해서는 이들은 은하계 항성 형성의 역사, 항성의 금속 함량, 항성의 지표 공간에 생명체가 형성될 가능성 등을 고려했다.
이 법칙의 상한에 따르면 은하계에는 최소 36개의 활동적이고 소통이 가능한 지능의 문명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 법칙을 좀 더 느슨하게 적용하면 은하계에는 적어도 928개 외계문명이 존재할 것이라고 이들은 전망했다.
콘슬라이스 교수는 "우리 존재가 특별하지 않다고 가정한 것은 우주생물학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잠재적 외계문명 간 거리가 1만7천광년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다른 외계문명이 보낸 신호가 지구에 다다르는 데는 너무 오래 걸려 현대 기술로는 다른 외계문명과 쌍방향 소통을 하는 게 불가능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1광년은 빛이 초속 30만km의 속도로 1년 동안 나아가는 거리로 9조5천억km에 달한다.
연구자들은 "현재 원거리 통신기술로는 우리 은하계 내 문명의 평균 수명이 3천60년, 쌍방향 소통을 위해서는 도합 6천120년을 살아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이아 위성이 포착한 우리은하와 인근 위성 은하
자료 사진
<저작권자(c) 연합뉴스, yulsid@yna.co.kr>2020/06/16 14:46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616089000009?section=news
https://www.youtube.com/watch?v=VmnLbOlAEZ8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태양계 역사, 다시 써야 할까?… / 외계 기술문명 탐사 시동 (0) | 2020.06.20 |
---|---|
+ '생후 이틀 이내' 별 주변 먼지 원반서 '후다닥' 행성 만들어 (0) | 2020.06.19 |
+ [긴급영상] UFO ?「정체 불명」- 일본 훗카이도 상공에서 떨어지는 저것은 무엇일까? (0) | 2020.06.19 |
+ '지구 같은 행성 우리 은하에만 최대 60억개 달할 수도' - 천문학회 발표 (0) | 2020.06.18 |
+ [아하! 우주] 태양계 끝 어둠 속에 ‘제9 행성’은 정말 존재하나? (0) | 2020.06.17 |
+ 화성에 산소가? 화성 대기서 산소 원자가 발산하는 녹색 빛 첫 관측 (0) | 2020.06.16 |
+ UFO 뉴스 [6/15 ~ 6/11/2020]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동영상 모음 (0) | 2020.06.16 |
+ 영화 ‘그린 랜턴’ 실사판?…밤하늘 날아가는 녹색 섬광 정체는? (0) | 2020.06.15 |
+ 태양계 끝서 본 "외계 하늘" 지구서 본 하늘과 첫 비교 (0) | 2020.06.12 |
+ ‘피터팬 원반'은 다른 별과 떨어진 외로운 환경서 형성돼’ / 녹색빛의 남극광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