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주]
‘지구를 지켜라’…소행성 디모포스에 우주선 충돌시키는
이유
입력 : 2020.06.24
▲ 소행성 디디모스와 디모포스 그리고 우주선 DART의 상상도
지구를 종말로 몰고가는 소행성 충돌은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만 등장하는 공상과학이 아닌 현실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파악해 공개한 ‘잠재적 위험 소행성’(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PHAs)만 1400개가 넘기 때문으로 이중 하나만 지구에 떨어져도 재앙이 될 수 있다.
이에 지난 2013년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지구로 날아오는 소행성을 파괴해 인류를 구하는 아이다(AIDA·Asteroid Impact & Deflection Assessment)라는 야심찬 공동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마치 ‘지구 방위대’가 연상되는 이 프로젝트는 영화에서처럼 지구와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을 산산조각내는 것이 아닌 충격을 가해 그 궤도를 일부 바꿔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는 방식이다.
지난 23일(현지시간) NASA와 ESA는 '디디모스 B'로 불렸던 작은 달에 공식적인 이름이 생겼다고 밝혔다. 국제천문연맹(IAU)이 승인한 이 달의 공식적인 이름은 디모포스(Dimorphos)로 지름은 불과 160m 정도다. 볼품없는 달에 공식적인 이름까지 붙여준 이유는 AIDA 프로젝트와 관계가 깊다.
내년 7월 NASA는 우주선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를 발사할 예정인데 그 목적지가 바로 디모포스다. 디모포스는 지름 780m인 소행성 디디모스(Didymos)의 달이다. 특히 디디모스는 대략 2년 주기로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데 지구에서 탐사선을 보내기 좋은 위치에 있어 아이다 프로젝트의 적절한 실험 대상이다.
이에 NASA와 ESA는 애초부터 지구와 충돌가능성이 없는 디디모스의 위성인 디모포스에 우주선 DART를 충돌시키는 계획을 세웠다. 위성인 디모포스가 실험 대상으로 낙점된 것은 디디모스의 중력에 묶여있어 만약의 경우에도 안전할 뿐 아니라 크기가 작아 궤도 수정도 쉽기 때문이다. 다만 역대 한번도 이같은 실험을 한 바 없어 DART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때문에 이 역할을 맡은 것이 ESA가 나중에 발사하는 헤라(Hera) 탐사선이다. 헤라는 디모포스에 생기게 될 충돌 크레이터는 물론 위성 전체를 다양한 관측 장치로 조사할 예정이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NASA와 ESA는 소행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어 향후 소행성의 '지구 침공'에 대비한 방어 전략을 세울 예정이다.
NASA의 DART 프로젝트를 맡고있는 안드레아 릴리는 "DART는 잠재적 위험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시험 방법의 첫 단계"라면서 "이같은 소행성은 전 지구적 관심 대상으로 NASA의 광범위한 행성 방어 계획의 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624601016§ion=&type=daily&page=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트럼프 고백! - 대통령 선거전에 UFO 외계인 정보 공개? (1) | 2020.06.28 |
---|---|
+ 우리 태양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슈퍼지구 2개' 발견 / 태양질량 15억배 '괴물' 퀘이사 관측 (0) | 2020.06.27 |
+ '현미경자리 AU'서 10여년 관측 끝에 해왕성급 행성 찾아내 (0) | 2020.06.26 |
+ UFO 뉴스 [6/25 ~ 6//21/2020]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동영상 모음 (0) | 2020.06.26 |
+ 목성 위성 유로파 얼음층 밑 대양 '생명체가 꽤 서식할만한 곳' (0) | 2020.06.25 |
+ [아하! 우주] 먼지 휘날리는 외계행성에도 생명체 존재 가능 (0) | 2020.06.23 |
+ 태양계 끝 얼음왕국 명왕성 "뜨겁게 대양 품고 출발" (0) | 2020.06.23 |
+「인류 탄생 이전의 지구에는 선진 문명 존재했다」 천체 물리학자가 논문 발표! (0) | 2020.06.23 |
+ [우주를 보다] 거대한 우주 나비의 날갯짓…허블망원경, 나비 성운 포착 (0) | 2020.06.22 |
+ 태양 수백만배 초대형 블랙홀 두 개 가진 '괴물' 은하 드러나나 (0) | 2020.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