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태양 한개씩 집어 삼키는 초기 우주 "최대 블랙홀"
송고시간2020-07-01
엄남석 기자
빅뱅 뒤 12억년 지난 초기 블랙홀 'J2157'…태양질량 340억배
초기 우주 블랙홀 상상도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난 2018년에 처음 관측된 초대형 블랙홀 'J2157'이 날마다 태양 질량 1개에 맞먹는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무서운 속도로 덩치를 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뱅 뒤 약 12억년밖에 안 된 초기 우주에서 발견된 J2157은 이미 태양 질량의 340억배에 달하는 거대한 몸집을 갖고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호주국립대학(ANU)에 따르면 J2157을 처음 관측한 이 대학 천문·천체물리학과의 크리스토퍼 온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유럽남방천문대(ESO)의 초거대망원경(VLT) 등을 이용한 후속 관측을 통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블랙홀의 질량이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SMBH)의 8천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우리 은하의 블랙홀이 이 정도로 덩치를 키우려면 은하 안에 있는 별의 3분의 2를 삼켜야 한다"고 했다.
온켄 박사는 J2157가 우주 138억년 역사에서 10%가 채 지나지 않은 초기 우주에서 발견됐으며, "이런 초기 우주에서는 덩치가 가장 큰 블랙홀"이라고 했다.
초기 우주에서 어떻게 이런 큰 블랙홀이 등장하게 됐는지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으며, 연구팀은 이를 규명할 수 있는 단서를 찾기 위해 다른 블랙홀을 탐색 중이다.
논문 공동저자인 ESO 천문학자 푸얀 비안 박사는 "블랙홀이 얼마나 많은 질량을 빨아들일 수 있는지는 현재 얼마나 큰 질량을 가졌는지에 달려있는데, 이 블랙홀이 고율로 물질을 빨아들여 신기록을 세우게 될 것으로 생각했고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알게됐다"고 했다.
온켄 박사는 "이런 블랙홀을 가진 은하가 초기 우주의 거대 천체 중 하나인지 아니면 이 블랙홀이 예외적으로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는 것인지를 확인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eomns@yna.co.kr>2020/07/01 11:32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10840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FO 뉴스 [7/5 ~ 7/1/2020]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동영상 모음 (0) | 2020.07.06 |
---|---|
+ [영상] UFO도 포메이션? 美서 수수께끼 불빛 다수 포착 (0) | 2020.07.05 |
+ 도쿄 하늘에 파이어 볼이 - 무슨일이 ? (0) | 2020.07.04 |
+ [아하! 우주] 초거성 베텔게우스의 비밀…갑자기 어두워진 이유는 흑점 때문 (0) | 2020.07.03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0) | 2020.07.02 |
+ UFO 뉴스 [6/30 ~ 6/26/2020]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동영상 모음 (0) | 2020.07.01 |
+ 흔적 없이 사라진 별 먼지 속에 숨었나 블랙홀 됐나 (0) | 2020.06.30 |
+ 생명체 있을까?…해왕성의 미스터리 얼음 위성 트리톤의 비밀 (0) | 2020.06.30 |
+ '초신성 폭발 임박설' 베텔게우스 광도 급감은 항성흑점 영향 (0) | 2020.06.29 |
+【속보】NASA가 외계인 탐사를 마침내 본격 시동!?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