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긴 어디?”…브라질 해변서 사상 최대 규모 펭귄 발견
입력 : 2020.07.17
올해 브라질 해변에서 구조된 펭귄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브라질 ‘해변 모니터링 프로젝트(PMP)’에 따르면 1~6월 브라질 해변에서 발견돼 구조된 펭귄은 모두 2567마리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8마리와 비교할 때 무려 30배 늘어난 것으로 이에 대한 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최다 기록이다.
브라질 해변에서 발견된 펭귄은 대부분 칠레와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등지에 주로 서식하는 마젤란 펭귄(Spheniscus magellanicus)이다. 마젤란 펭귄은 번식기가 아닌 4~9월엔 해변으로 나오지 않는 게 보통이다. 해변까지 접근하는 펭귄은 대부분 병들었거나 브라질까지 헤엄을 쳐 넘어온 뒤 장거리 이동으로 기력이 소진된 경우다.
해변에서 발견되는 펭귄 중 대다수가 곧바로 구조되지 않으면 죽어버리는 이유다. 세계 최대 해양동물 구조 프로젝트인 PMP는 이런 펭귄들을 구조한 뒤 치료와 재활을 거쳐 바다로 돌려보낸다. 올해 들어 해변의 펭귄이 급증한 이유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PMP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바닷가에 인적이 뜸해진 게 원인이 아닌가 추측을 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해변에서 발견되는 펭귄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브라질에서 펭귄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시기는 7~9월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7월 첫 주에 브라질 해변에서 구조된 펭귄은 353마리로 개체의 급증을 예고했다. 이렇게 펭귄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미처 구조되지 못해 죽어가는 펭귄도 늘고 있다.
PMP에 참여하고 있는 브라질의 동물보호단체 ACCM에 따르면 지난달 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상파울로주 해변에서 발견된 펭귄은 514마리였다. 이 가운데 383마리는 죽은 상태로 발견됐다. 죽어가는 펭귄 대다수는 암컷이다. 전문가들은 “먹이가 부족할 때 수컷보다는 암컷이 더 큰 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밝혔다.
사진=자료사진
[서울신문 나우뉴스] 손영식 해외통신원 voniss@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717601013§ion=&type=daily&page=
“인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여름 올 것”…
폭염 경고하는 전문가들
입력 : 2020.07.17
▲ 기후변화를 막지 못할 경우 인간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더운
여름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쏟아졌다(사진=123rf.com)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할 경우, 결국 인간이 버텨내지 못할 정도의 여름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싱가포르 응급의학과 전문의 지미 리는 영국 BBC와 한 인터뷰에서 “코로나19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온몸을 보호하는 방호복을 착용해야 하는데, 숨 막히는 더위 때문에 환자 치료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리 박사에 따르면 높은 기온에 따른 과열 현상은 몸의 움직임을 둔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서 빠른 결정을 내리는데 방해가 된다. 이는 의료진의 의욕과 사기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일명 ‘열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열 스트레스는 인체에 미치는 내ㆍ외적 열 인자의 총체적인 합을 말하며, 일명 열 압박이라고도 한다. 열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영향은 체온을 통해 나타나는데, 체심 온도를 증가시키는 환경 조건과 작업 수준이 지속되면 정상적인 열 방산이 더욱 어려워져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영국 버밍엄대학의 생리학 전문가인 레베카 루카스 박사는 BBC와 한 인터뷰에서 “의료진들이 바이러스의 침투를 막기 위해 입는 방호복이 열 스트레스를 높일 수 있다. 열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가벼운 근육 경련부터 소화기관과 신장의 기능이 급속도로 떨어질 것”이라면서 “고온에 노출되는 것은 우리 몸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 지난해 기록적인 고온을 기록한 인도 지역들
▲ 매년 여름 심각한 고온다습현상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들이 속출하는 인도의 풍경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지구의 평균기온 탓에 악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의료진뿐만이 아니다. 매년 기록적인 폭염으로 수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인도의 한 대학병원 의료진은 BBC와 한 인터뷰에서 “환자 중 염전과 철강소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고온이 계속된다면 이러한 직업 환경을 가진 사람들은 탈수 증상을 보일 것이고, 이후 심혈관계통이나 신장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기온이 치솟으면서 습한 공기까지 겹칠 가능성이 있으며, 극심한 습도와 고온에 동시에 노출될 경우 건강상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기상청의 리차드 베츠 교수는 BBC와 한 인터뷰에서 “이미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고온과 다습이 혼합된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면서 “적절한 조치가 없다면 이 세상은 인간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더운 환경으로 변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싱가포르의 지미 리 박사 역시 “기후변화는 우리가 맞닥뜨릴 가장 거대한 괴물이 될 것이다. 우리는 전 지구적으로 이에 대비하는 조직적 활동이 필요하다”면서 “만약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관측 역사상 최고 기온인 38도를 기록한 러시아 시베리아 베르호얀스크
마을의 아이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사진=AP 연합뉴스)
한편 지난해 7월, 인도에서는 50℃에 육박하는 폭염이 인도 북부와 중부, 서부를 강타하면서 100명 이상이 열사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당시 CNN은 인도가 기후 변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면서 매년 3월~7월이면 인도를 찾아오는 폭염이 더 자주, 오래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0년이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으며,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되면 ‘생존 한계’를 초과하는 지역이 전 세계에 크게 늘 것이란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717601009§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탈리아 활화산 스트롬볼리 또 폭발…연기와 함께 시뻘건 암석 솟구쳐 (0) | 2020.07.19 |
---|---|
+ 日 후지산 마그마에 이변…/ 전문가들 - 언제 폭발해도 이상하지 않다 (0) | 2020.07.19 |
+ '불의 고리' / 남태평양 통가 동북동 99km 지점에서 규모 6.5 지진 발생 (0) | 2020.07.19 |
+ 뉴질랜드 케르마데크 섬 5.2 지진 / 인도 안다만 6.1 지진 외 지속 / 칠레 이키케 5.9 지진 / 솔로몬제도 5.8 지진 (0) | 2020.07.18 |
+ 뉴질랜드 북부 500년 만의 폭우…산사태·침수 발생 / 中 홍수 재난 대비해야 / 지구촌 재난 상황 [영상] (0) | 2020.07.18 |
+ 파푸아뉴기니 코코다 북쪽서 규모 7.3 지진 발생…쓰나미 경보 발령 (0) | 2020.07.17 |
+ 5분 동안 무려 40회…멕시코 도시 강타한 번개·벼락 (0) | 2020.07.16 |
+ [영상]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물난리…사상자 속출 / 전남 신안 흑산도 2.4 지진 (0) | 2020.07.15 |
+ 지구상 동식물 3만2441종 멸종위기 / '꿀벌 죽이는 ‘노제마병’ 전 세계서 유행' (0) | 2020.07.15 |
+ [영상] '거대 거품' 넘실넘실…이거 실화? / 남아시아 폭우로 400만명 피해…'방글라는 국토 3분의 1 잠겨' (0) | 202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