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멸종위기 카스피해물범 272마리, 의문의 떼죽음…원인은?

 

 

 

멸종위기 카스피해물범 272마리, 의문의 떼죽음원인은?

 

입력 : 2020.12.12

 

 

 

카스피해 연안에서 죽은 채 발견된 카스피해물범. 사진=AFP 연합뉴스

 

세계 최대 내륙해인 카스피해 연안에서 멸종위기 종인 카스피해물범 수백 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채 발견됐다.

 

12(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은 남부 러시아의 카스피해 연안에서 현재까지 총 272마리의 카스피해물범이 사체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카스피해에서만 사는 카스피해물범은 몸길이 150㎝ 전후로 물범 중 가장 종에 속하며 현재는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지난 11일 러시아 어업청이 카스피해물범의 사인 조사에 나선 가운데 전문가들은 감염과 외부 원인의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있다. 러시아 당국은 "지난 6일부터 10일 사이 총 272마리의 물범이 카스피해 여러 지역에서 사체로 발견됐으며 일부는 임신한 상태였다"면서 "현재 물범들의 의문사를 조사 중에 있으며 아마도 더 많은 사체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카스피해 연안에서 죽은 채 발견된 카스피해물범. 사진=AFP 연합뉴스

 

현재 약 7만 마리의 카스피해물범을 비롯한 다양한 고유 종이 살고있는 카스피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남획과 개발로 인한 오염으로 고통받아왔다. 이곳에서 석유와 가스를 추출하면서 발생하는 오염과 기후 변화로 인한 수위 감소 등이 많은 고유종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것. 이중 대표적으로 피해받은 종이 바로 카스피해물범으로 20세기 초와 비교하면 무려 100만 마리의 개체수가 감소한 상태다.

 

면적이 일본 열도 크기와 비슷한 카스피해는 러시아, 이란,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지난 2018년 기존의 호수에서 특수한 지위를 가진 바다로 규정된 바 있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2126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