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보다]
쪼개지고 또 쪼개지고…남극 초거대 빙산의 최후는?
입력 : 2021.02.19
▲ 지난 12일 테라 위성으로 촬영한 A-68a 등의 빙산 모습. 사진=NASA
한때 제주도의 두배가 넘는 면적을 가져 역대 가장 큰 빙산 중 하나로 기록된 A-68a 빙산이 지금은 10여 개의 크고 작은 조각으로 나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관측위성인 ‘테라’에 설치된 중간해상도 영상 분광계(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로 촬영된 A-68a 빙산의 최근 모습을 공개했다.
▲ 지난해 12월 영국공군이 촬영한 A-68d 빙산과 그 뒤로 사우스조지아섬이 보인다.
오른쪽은 위성으로 촬영한 모습
지난 12일 촬영된 빙산은 사진 상으로도 드러나듯 여러 개로 분리돼 남대서양에 위치한 영국령 사우스조지아 섬 주변을 떠도는 것이 확인된다. 지금은 총 11개의 빙산이 섬 주위를 떠돌고 있으며 이중 덩치가 큰 8개는 알파벳으로 이름이 붙었다.
A-68a의 시작은 지난 2017년 7월 12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 지난 2017년 A-68 빙산의 분리 모습. 영상=ESA
당시 남극의 라르센C 빙붕에서 면적이 최대 6000㎢, 길이 150㎞, 머금은 물의 양만 1조t 이상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빙산이 떨어져 나왔다. 당초 A-68로 명명된 이 빙산은 처음 2년 간은 크기의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이후 급격히 변화하기 시작했다. 마치 새끼를 출산하듯 덩어리가 갈라지면서 이에 명칭도 A-68에서 각각 A-68a, A-68b, A-68c로 명명됐다.
▲ 흘러가는 A-68A의 이동 경로
이중 남대서양 사우스오크니제도의 공해상까지 흘러간 A-68a는 지난해 영국령 사우스조지아 섬 연안까지 접근하면서 섬과 충돌하거나 앞바다에 머물 가능성이 커지면서 위기감이 켜졌다. 사우스조지아 섬에는 수많은 펭귄과 물개들이 사는 야생동물의 낙원이지만 거대한 빙산이 충돌하거나 바닷길을 막으면 동물들의 생태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후 A-68a는 몸통이 쪼개지고 녹으면서 또다시 '새끼'를 낳아 A-68d, A-68e, A-68f 등으로 분리됐으며 최근 조사에서는 빙산이 A-68m까지 늘어났다.
영국 국립남극조사단(BAS) 로라 게리쉬 연구원은 "분리된 빙산들은 한동안 사우스조지아 섬 주위를 계속 떠다닐 것"이라면서 "빙산이 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그 움직임을 모니터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219601006§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여기는 화성…탐사로버가 보내온 첫 파노라마 풍경 (0) | 2021.02.23 |
---|---|
+ 슈퍼난카이 지진 - 난카이트라프 거대지진과 사가미트라프 지진이 연동, 오키나와 트라프 지진까지 (0) | 2021.02.22 |
+ 전남 영광 북서쪽 해역서 규모 2.2 지진…'피해 없을 것' (0) | 2021.02.21 |
+ 인도네시아 해변서 들쇠고래 52마리 떼죽음…3마리만 구조 (0) | 2021.02.20 |
+ 유럽 최대의 활화산 에트나 화산 분화 - 분연이 3700m까지 치솟아 - 3개 화산 분화 (0) | 2021.02.19 |
+ 51구역에서 발견된 스타게이트 닮은 미스터리 링 구조물 (0) | 2021.02.19 |
+ 남태평양 바누아투 규모 6.2 지진 외 다수 발생 (0) | 2021.02.18 |
+ 남극 해저 900m, 극한 환경에 사는 미지 생명체 발견 (0) | 2021.02.18 |
+ 이탈리아 - 시칠리아 에트나 또 분출…"'비처럼 쏟아져' (0) | 2021.02.18 |
+ 코로나 숙주 박쥐떼, 도심에 출몰…칠레 주민들 패닉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