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老子사상 : 道德經
글을 보시려면 각 장을 클릭하시면 연결됩니다.
노자는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신원이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생애에 대한 주된 정보원은
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의 노자전(老子傳)이다. 그러나 BC 100년경에 〈사기〉를 저술한 이 역사가도 노자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했다. 〈사기〉에 따르면, 노자는 초(楚)나라 고현(古縣) 여향(術鄕) 곡인리(曲仁里:지금의 허난 성[河南省] 루이 현[鹿邑縣]) 사람으로 주(周:BC 1111경~255) 수장실(守藏室)의 사관(史官)이었다. 사관은 오늘날 '역사가'를 의미하지만, 고대 중국에서는 천문(天文)·점성(占星)·성전(聖典)을 전담하는 학자였다.노자가 서쪽으로 간 사실과 〈도덕경〉을 저술한 점을 언급한 뒤에 사마천은 가끔 노자와 동일시되는 다른 인물들에 대해 말했다. "초(楚)에 노래자(老萊子)라는 사람이 있어서 책 15권을 저술하여 도가의 정신에 대해 서술한 바 있는데 공자와 같은 때의 사람이다." "주나라의 태사(太史)이며 위대한 점성술가인 담(儋)이 진(秦:BC 384~362)의 헌공(獻公)을 만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어떤 이는 그가 곧 노자라고 하고 어떤 이는 아니라고 한다." 사마천은 또 이렇게 덧붙였다.
〈사기〉의 노자전과 기타 오래된 문헌에서 이따금씩 나오는 기술을 제외하고도 2세기 이후부터는 노자에 대한 성인전(聖人傳)이 여러 편 저술되었다. 이같은 전기는 도교의 형성사에서 흥미로운 것이다. 후한(後漢:25~220)시대에 노자는 이미 신화적인 인물이 되어 사람들의 숭배를 받았고 때로는 황제도 그를 숭배했다. 그뒤 종교계에서 성전(聖典)의 계시자이며 인류의 구세주인 노군(老君)으로 추앙되었다. 노자의 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 가운데 부처의 기적적인 탄생신화에 영향을 받은 것이 있다. 노자의 어머니는 노자를 72년간 임신하고 있었고, 노자는 어머니의 옆구리를 통해 이세상에 나왔다고 한다.
사 상
도교의 모든 이론은 노자에 의해 마련되었다. 〈도덕경〉을 통해 볼 때, 노장사상의 핵심은 '무위자연'(無僞自然)에 있으며, 그것이
'도'(道)라는 개념으로 집약된다. 여기서 '무위'는 우주론적 정향을 지향하는 것, 즉 부자연스런 행위를 조금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무위자연의 구체적인 의미를 말한다면 '사실 자체의 바탕 위에서 떠나지 말라'는 것이다. 사실 자체란 다름아니라 노자에게 있어서는 자연이요, 도(道)요, 기(氣)요, 변화이다. 그리고 무위란 그 바탕 위에 서서 떠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가와 도교
道
老子사상 : 道德經
글을 보시려면 각 장을 클릭하시면 연결됩니다.
노자는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신원이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생애에 대한 주된 정보원은
사마천(司馬遷)이 쓴 〈사기〉의 노자전(老子傳)이다. 그러나 BC 100년경에 〈사기〉를 저술한 이 역사가도 노자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했다. 〈사기〉에 따르면, 노자는 초(楚)나라 고현(古縣) 여향(術鄕) 곡인리(曲仁里:지금의 허난 성[河南省] 루이 현[鹿邑縣]) 사람으로 주(周:BC 1111경~255) 수장실(守藏室)의 사관(史官)이었다. 사관은 오늘날 '역사가'를 의미하지만, 고대 중국에서는 천문(天文)·점성(占星)·성전(聖典)을 전담하는 학자였다.노자가 서쪽으로 간 사실과 〈도덕경〉을 저술한 점을 언급한 뒤에 사마천은 가끔 노자와 동일시되는 다른 인물들에 대해 말했다. "초(楚)에 노래자(老萊子)라는 사람이 있어서 책 15권을 저술하여 도가의 정신에 대해 서술한 바 있는데 공자와 같은 때의 사람이다." "주나라의 태사(太史)이며 위대한 점성술가인 담(儋)이 진(秦:BC 384~362)의 헌공(獻公)을 만났다는 기록이 있는데, 어떤 이는 그가 곧 노자라고 하고 어떤 이는 아니라고 한다." 사마천은 또 이렇게 덧붙였다.
〈사기〉의 노자전과 기타 오래된 문헌에서 이따금씩 나오는 기술을 제외하고도 2세기 이후부터는 노자에 대한 성인전(聖人傳)이 여러 편 저술되었다. 이같은 전기는 도교의 형성사에서 흥미로운 것이다. 후한(後漢:25~220)시대에 노자는 이미 신화적인 인물이 되어 사람들의 숭배를 받았고 때로는 황제도 그를 숭배했다. 그뒤 종교계에서 성전(聖典)의 계시자이며 인류의 구세주인 노군(老君)으로 추앙되었다. 노자의 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 가운데 부처의 기적적인 탄생신화에 영향을 받은 것이 있다. 노자의 어머니는 노자를 72년간 임신하고 있었고, 노자는 어머니의 옆구리를 통해 이세상에 나왔다고 한다.
사 상
도교의 모든 이론은 노자에 의해 마련되었다. 〈도덕경〉을 통해 볼 때, 노장사상의 핵심은 '무위자연'(無僞自然)에 있으며, 그것이
'도'(道)라는 개념으로 집약된다. 여기서 '무위'는 우주론적 정향을 지향하는 것, 즉 부자연스런 행위를 조금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무위자연의 구체적인 의미를 말한다면 '사실 자체의 바탕 위에서 떠나지 말라'는 것이다. 사실 자체란 다름아니라 노자에게 있어서는 자연이요, 도(道)요, 기(氣)요, 변화이다. 그리고 무위란 그 바탕 위에 서서 떠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가와 도교
孔子사상 : 論 語
05 公 冶 長 篇 第 五 06 雍 也 篇 第 六 07 述 而 篇 第 七 08 泰 伯 篇 第 八
글을 보시려면 P 01 ~ 20 클릭하시면 연결됩니다.
공자 ( 孔子 : B.C 551 ~ 479 )
춘추시대의 대 사상가로써 유교의 시작이며 성인이라 꼽힌다.
성은 공 (孔) 이고 이름은 구 (丘) , 자는 중니 (仲尼) 이다.
공자가 역책한후 제자들에 의해서 쓰여진 <논어>는 유교경전의 사서(四書)에 꼽혔으며 유교적 사상으로 본 역사서 <춘추> 역시 육경(六經) 중 하나로 불렸다.
6예 -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 를 중요시 하였고 세상의 질서와 조화는 "예" 와 "악"에 의해서 이룩 된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은(殷)왕족의 혈통을 이어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났는데 아버지의 성은 숙량, 이름은 흘이며 어머니는 안씨(顔氏) 집안으로, 이름은 징재이었습니다. 아버지는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 군공(軍功)을 세운 부장(部將)이었으나, 공자가 3세 때 별세하여 어린시절 빈곤 속에서 자랐습니다. 그러나 그는 어려서부터 공부에 힘썼고 노나라의 창시자로 주왕조(周王朝) 건국의 공신이기도 했던 주공(周公)을 흠모하여 그 전통적 문화습득에 노력했으며, 수양을 쌓아 점차 유명해졌습니다. 처음에는 말단 관리였으나, 50세가 지나서 노나라의 정공(定公)에게 중용(重用)되어, 정치가로서의 탁월한 수완을 발휘하였습니다.
그의 계획은 노나라의 실력자인 3중신의 세력을 눌러 공실(公室)의 권력을 회복하고, 주공의 정신을 살린 질서있는 문화국가를 건설하려는 것이지만, 그의 계획이 드러나 BC 497년, 56세 때 관직을 잃고 그 후 14년간 문하생들을 데리고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유세(遊說)를 계속하며 이상실현을 꾀하였습니다. 그러나 BC 484년, 69세 때 그 불가능함을 깨닫고 고향에 돌아가 제자들의 교육에 전념하였습니다. 이 무렵 아들 이(鯉)와, 고제자(高弟子) 안회(顔回) 및 자로(子路)가 잇달아 죽는 불행을 겪었고, 74세때 자공(子貢)˙증삼(曾參) 등 뛰어난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타계하였습니다.
제자는 모두 3,000명이나 되었는데 공자의 언행은 《논어(論語)》를 통해서 전해지고, 그의 사상을 알아보기 위한 확실한 자료도 《논어》밖에 없으며 이는 제자나 제자의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지 공자 자신이 직접 쓰지는 않았습니다.
공자사상의 중심은 ‘인仁’이며, 인의 가장 순수한 상태가 ‘효(孝)’(부모자식간의 사랑)와 ‘제(悌)’(형제간의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효제를 인간행위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삼고 있으며 그리하여 효를 바탕으로 ‘수신제가(修身齊家)’를 이룬 후에 나아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완성하는 것이 바로 군자(君子)의 도리라고 가르치고있습니다.
공자의 사상이 잘 담겨 있는 『논어』를 보면, 공자의 이상은 군자를 키우는 데 있습니다. 즉, 유교의 정치와 목적은 소인을 군자로 끌어올리는 일입니다. 군자는 교양이 있고 고귀한 인격자를 말하며, 군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정직성과 정의감, 군주에 대한 충성심,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진 마음(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군자는 이와 같은 도덕적인 덕목과 함께 현실생활에 있어서도 예의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공자는 군자의 교육으로 ‘예(예절), 악(음악)’을 강조했는데 한대에 유교가 관학이 되면서 의식과 예법이 특히 중요시되었고 이로 인해 동아시아의 유교문화권에서는 의식과 예절이 강조되고 예와 악이 인간교육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인간의 내면적인 덕과 외적인 예절을 균형있게 갖추는 중용의 행동이야말로 유가사상의 행동원리가 되었고, 이와 같이 중도를 추구하는 타협정신은 이후 중국문화의 사상적 기반으로 정착되어갔습니다.
공자의 유가사상은 맹자와 순자에 의해 계승되면서 ‘유가학파’로 발전하게 됩니다.
사서오경 (四書五經)
사서오경(四書五經)은 유교의 경전으로, 경전 중에 가장 핵심적인 책이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말하고,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한다. 삼경에 "춘추"와 "예기"를 합해 오경이라 부르고, 합해서 사서오경이라 부른다.
송나라에 이르러 성리학 체계가 성립하면서 주희가 《예기》에서 일부를 〈대학〉과 〈중용〉의 두 편으로 발췌하면서, 논어·맹자와 함께 사서 체계를 확립했다.
사서 : 대학 (大學). 논어 (論語). 맹자 (孟子). 중용 (中庸)클릭!
오경 : 시경 (詩經). 서경 (書經). 역경 (易經). 춘추 (春秋). 예기 (禮記)
악경(樂經)을 포함하여 육경이라고도 하는데, 악경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강오륜 (三綱五倫)
삼강오륜(三綱五倫)이란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도덕지침이다.
삼 강
삼강(三綱)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부위자강 (父爲子綱)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고
군위신강 (君爲臣綱)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고
부위부강 (夫爲婦綱)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오 륜
오륜(五倫)에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君臣有義 (군신유의) 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 (부부유별)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 (장유유서)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 (붕우유신)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참고자료 모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 F O - 우주선 들의 활동 장소 (0) | 2009.08.23 |
---|---|
911 / 그들이 은폐하고 싶은 그날의 911 현장 (0) | 2008.07.25 |
아카식기록, 지구 대 격변과 황금시대, 윤회의 삶 [애쉬람 우주관] (0) | 2008.07.25 |
+ 존F 케네디 대통령 - 외계 지적존재 알리려다 암살 (0) | 2008.07.07 |
* 내부 지구에 대한 자료들 [ INNER EARTH ] (0) | 2008.07.07 |
* 우주의 신비 * (1) | 2008.06.01 |
전설의 대륙 - 아틀란티스의 침몰 (0) | 2008.06.01 |
사라져가는 지구 자기장 (0) | 2008.05.26 |
우주속의 신비한 지구 (0) | 2008.05.16 |
빙하시대의 도래 (0) | 200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