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왜 녹색 은하는 보이지 않을까? / 목성 공전 갈릴레이 위성 첫 공개

 

 

 

[아하 우주] 왜 녹색 은하는 보이지 않을까?

) --> 

입력: 2016.07.06 15:05



) --> 

▲ EAGLE 시뮬레이션으로 본 젊은 은하(왼쪽), 녹색 은하(가운데),

붉은 은하(오른쪽)의 이미지. (사진=James Trayford/EAGLE/던햄대학)

) --> 

인간과 마찬가지로 은하 역시 세월의 흐름을 이길 수는 없다. 은하도 결국은 늙기 때문이다. 처음 생긴 은하는 왕성하게 별을 생성하면서 파랗게 빛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별의 재료인 성간 가스가 부족해지면 새로운 별은 드물게 생성되고, 이미 있는 별은 늙어간다. 그러면 점차 나이 든 은하는 붉은색으로 물든다. 은하의 황혼기가 온 것이다. 그리고 그 중간에는 두 색상의 중간 정도 파장인 녹색 은하가 있다.

) --> 

그런데 실제로는 중간 정도로 별이 생성되는 녹색 은하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 관측된 은하는 젊은 은하 내지는 나이 든 은하뿐이다. 이것을 사람으로 비유하면 청소년기에서 갑자기 중년의 어른이나 노인이 되는 셈이다. 이는 은하의 진화 과정에서 별의 생성이 연속적으로 줄어드는 대신 갑자기 줄어들기 때문인데,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궁금해하고 있다.

) --> 

던햄 대학의 ICC(Institute for Computational Cosmology) 연구팀은 EAGLE 시뮬레이션을 통해 은하의 진화 과정을 연구했다. 그 결과 은하에서 별의 생성이 갑자기 중단되는 두 가지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첫 번째 메커니즘은 대형 은하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은하 중심의 거대 질량 블랙홀의 강력한 제트에 의해 가스를 급격히 소실하는 경우다. 두 번째는 작은 은하에서 주변의 큰 은하의 중력 간섭으로 인해 가스를 빼앗기는 경우다. 어느 쪽이든 갑작스럽게 물질을 잃으면서 수소 가스의 농도가 낮아지면 새로운 별이 탄생하기 어려워진다. 결국, 은하는 늙게 된다.

) --> 

사실 은하의 진화는 인간의 삶 이상으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진행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충돌과 합체를 겪으면서 다양하게 성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겪으면서 늙어간다는 것은 사람과 다르지 않다.

) --> 

나우뉴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06601013§ion=&type=daily&page=

  ) -->  



주노, 목성 공전하는 갈릴레이 위성 모습 첫 공개

(영상)

) --> 

입력: 2016.07.06 11:20


 

미 항공우주국(NASA)의 목성탐사선 ‘주노’(Juno)가 마침내 목성 궤도 진입에 성공한 가운데 이를 자축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 -->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간) 주노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수석연구원 스콧 볼튼 박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인류 역사상, 육중한 천체가 다른 천체 가까이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면서 "오늘날까지 이 움직임은 상상으로만 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 --> 

NASA가 공개한 이 영상은 목성과 그 주위를 공전하는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을 담고있다. 곧 영상으로는 작은 점 수준이지만 중심에 목성을 놓고 4개의 달들이 역동적으로 돌고있는 모습이 주노의 카메라에 직접 촬영된 것이다.

) --> 

인류와 목성의 첫 만남은 지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관측이 시작이었다. 당시 갈릴레이는 자체 제작한 망원경으로 목성을 비롯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활화산이 있는 이오(Io)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유로파(Europa), 바다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칼리스토(Callisto) 그리고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이자 ‘건방지게’ 행성인 수성보다 큰 가니메데(5262km)를 발견했다. 갈릴레이 위성은 이 4개의 달을 지칭하는 것으로 400년이 지나서야 인류는 그 전체의 움직이는 모습을 가까이서 지켜본 것이다.

) --> 

이 영상은 지난달 12일~29일 사이 목성으로 향해 날아가던 주노가 촬영한 이미지를 합쳐 제작됐으며 거리는 1600만 km~500만 km다.

) --> 

볼튼 박사는 "태양계의 왕과 그 주위 제자들의 모습"이라면서 "지금까지 우리는 컴퓨터 애니메이션과 할리우드의 특수효과로 이같은 모습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 --> 

한편 지난 2011년 8월 발사돼 5년 가까운 세월동안 총 28억㎞를 비행한 주노는 앞으로 20개월 간 목성을 37차례 돌며 탐사에 나선다. 이 기간 중 주노는 목성 대기 약 5000km 상공에서 지옥같은 대기를 뚫고 내부 구조를 상세히 들여다보며 자기장, 중력장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 -->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06601008§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