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90만광년…우리 은하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별’ 발견
입력: 2014.07.16 14:47
▲ 77.5광년 떨어진 별 ‘ULAS J0744 +25’에서 바라본 은하의 모습.(시뮬레이션 이미지)
ⓒ존 보챈스키
우리 은하(Milky Way, 이하 은하)라고 하면 지름이 10만 광년인 나선형 원반을 떠올리기 쉽지만 이보다 먼거리에 있어도 은하에 속하는 천체들이 있다. 이는 원반을 크게 둘러싸듯 별이 띄엄띄엄 존재하는 ‘은하헤일로’에 속한 것들로 은하에 인접한 마젤란은하(약 17만 광년)보다 훨씬 멀리까지 퍼져 있다.
지금까지 은하 중심에서 40만 광년 이상 떨어진 항성은 단 7개밖에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최근 이보다 훨씬 먼거리에 있는 별 2개를 발견해 학계가 주목하고 있다.
존 보챈스키 미국 해버퍼드칼리지 객원 조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영국적외선망원경(UKIRT)을 사용한 UKIDSS(UKIRT Infrared Deep Sky Survey)와 국제우주측량 프로젝트인 SDSS(Sloan Digital Sky Survey)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얻은 자료로, 미국 애리조나주(州)에 있는 다중반사망원경(MMT)을 사용해 두 별을 발견했다.
하나는 쌍둥이자리 방향으로 77.5광년 거리에 있는 ‘ULAS J0744 +25’이며, 다른 하나는 물고기자리 방향으로 90만 광년 거리에 있는 ‘ULAS J0015 +01’이다. 두 별은 모두 적색거성으로 분광관측을 통해 거리를 확정지었다.
두 별까지의 거리는 거대 은하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약 200만 광년)의 3분의 1 이상에 달한다. 그 운동 속도와 거리 분석을 통해 한때 은하에 부딪혀 흡수된 수많은 왜소은하의 잔해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는 앞으로 이런 별이 계속 발견되야 하는 것은 물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번 연구성과는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레터스’(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3일 자로 게재됐다.
사진=은하헤일로에 있는 별에서 바라본 은하 주요 부분의 모습.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716601016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행성에서 ‘피라미드 물체’ 발견 - 광물 캐는 탐사선 보낼 계획 (0) | 2014.07.17 |
---|---|
+ UFO 뉴스 / 움직이는 별자리?…밀라노서 ‘희귀 UFO’ 약 50분간 떠있어.. (0) | 2014.07.17 |
+ “후지산 폭발, 위험한 단계”…대재앙 발생할까 - 곧 분화 불안감... (0) | 2014.07.17 |
+ UFO 뉴스 / 태양 주변에, 달에도, 화성에도, 지구촌 상공의 UFO 들 무지 뜨네요 !! (0) | 2014.07.17 |
+ 쌍둥이 태양 / 슈퍼지구 존재할까?…‘쌍둥이 태양’ 발견 - 22개의 태양형 항성 중 하나 (0) | 2014.07.16 |
+ 지금 지구촌에서는 무슨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가? - 31'th NEWS REPORT - 2014: UFO (0) | 2014.07.16 |
+ UFO 뉴스 / 슈퍼문 가로지르는 미확인 ‘미스터리 물체’…인공위성? UFO? (0) | 2014.07.15 |
+ 별의 씨앗 / 120억년 된 은하서 뿌려진 ‘별의 씨앗’ 최초 포착 (0) | 2014.07.15 |
+ 금성 대기 깊숙이 목숨(?)건 침투작전…비너스익스프레스 / 화성 미션 시작 (0) | 2014.07.14 |
+ UFO 뉴스 / UFO 납치 시 100억…2만명 ‘바보’ 만든 이색보험 - 플로리다주(州) (0) | 201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