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지구처럼 물 많은 별, 예상보다 많을 것” / ‘종말급’ 1.3km 거대소행성

 

 

 

“지구처럼 물 많은 별, 예상보다 많을 것” <연구>

 

입력: 2015.05.11 15:51

 

 

 

 

최근 해외 연구진이 지구처럼 많은 양의 물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백색왜성을 발견했다고 밝혀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지구는 다량의 물을 보유한, 우주상의 ‘거의 유일한’ 행성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영국 워릭대학교 연구진은 지구처럼 다량의 물을 가진 행성이 우주 곳곳에 존재하며, 기존 예상보다 그 수가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발견한 것은 ‘SDSS 1242+5226’이라는 이름의 백색왜성이다. 백색왜성은 태양질량의 1.4배보다 가벼운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핵반응을 끝내고 남은 열로 빛나고 있는 상태를 뜻하며, 밝기는 태양의 1000분의 1~10배, 표면 온도는 4만~10만K 정도로 알려져 있다.

 

‘SDSS 1242+5226’는 큰곰자리에서 530광년 떨어진 곳에 있으며, 크기는 지름이 약 950㎞로 알려진 케레스 소행성과 비슷하다.

 

연구진은 아프리카 북서부의 카나리아 제도에서 윌리엄허셀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백색왜성 ‘SDSS 1242+5226’의 대기 중에서 다량의 산소와 수소를 발견했다. 산소와 수소는 물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 백색왜성에는 지구 바다의 30~35%에 해당하는 양의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를 이끈 워릭대학교의 로버트 래디 박사는 “지구처럼 물이 풍부한 소행성은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번 연구는 지구가 과거에는 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메마른 행성이었다가 후에 물이 풍부한 행성으로 변모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많은 백색왜성의 표면에는 비교적 가벼운 성질의 수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다. 또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백색왜성에는 지구처럼 생명체 존재의 전제조건인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이 백색왜성처럼 지구처럼 표면에 물을 가지고 있거나, 과거 물이 존재했던 행성이 예상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례 공보’(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에 실렸다.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11601019§ion=&type=daily&page=

 

 

 

‘종말급’ 거대 소행성, 오는 14일 지구스친다…거리?

 

입력: 2015.05.11 15:20

 

 

 

 

지름이 약 1.3km에 달하는 거대 소행성이 한국시간으로 14일 오후 지구를 스쳐 지나간다. 에베레스트산의 8분의 1 크기나 되는 이 소행성은 지구에서 불과 1000만 km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을 만큼 근접할 예정이다.

 

영국 일간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이 오는 14일(세계시 기준) ‘1999 FN53’으로 명명된 소행성이 지구를 스쳐 지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소행성은 1999년 3월 31일 로웰천문대 NEO 탐색(LONEOS)을 통해 처음 발견됐다.

 

이 소행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근전물체(NEO)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대상으로 분류된 대부분 소행성보다 10배 이상 크다. 또한 지난 3월 지구를 스쳐 지나간 거대 소행성 2014-YB35보다 거의 2배 정도 크다.

 

천문학자들은 만일 이 소행성이 예측과 달리 지구와 충돌하게 되면 대규모 파괴와 지진이 일어나고 전체적 소멸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들은 이 소행성의 폭발력이 TNT 폭탄 수백만 메가톤에 맞먹으며 이로 인해 지구 인구 15억 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소행성은 퉁구스카 대폭발로 불리는 1908년 시베리아에 지름 50m가 넘는 거대한 구덩이를 만들어낸 소행성보다 파괴적이다. 당시 그 지역 나무 8000만 그루가 파괴됐고 리히터 규모로 5.0에 해당하는 지진파가 발생했다. 그런 비극적 결과는 천문학자들에게 지구에 충돌한 소행성을 연구하는 기준이 됐다.

 

천문학자들에 따르면, 이 소행성은 현재 시속 4만 8000km라는 엄청난 속도로 지구를 향해 날아오고 있다. 이는 점보제트기의 50배, 우주 로켓의 2배에 해당하는 속도이다.

 

잉글랜드 버킹엄셔대의 빌 나피어 천문학 교수는 만일 충돌이 일어나면 상상할 수 없는 파멸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만일 소행성이 육지가 아닌 바다에 떨어지게 되면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이 파괴돼 땅에 있는 거의 모든 식물은 강력한 햇빛에 그대로 노출돼 타버릴 것”이라면서 “또 성층권으로 많은 물을 증발시켜 궁극적으로는 대량 멸종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계산으로는 이 소행성이 지구에서 1000만 km 정도 떨어진 포인트를 지날 것으로 예상되어 위험성은 없어보인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은 만일 궤도에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편 이번 소행성 접근 사건이 무사히(?) 지나가면 천문학자들은 오는 6월 30일 ‘세계 소행성의 날’을 맞아 이 천체가 잠재적 위험 소행성(PHA)임을 강조하기 위해 고유 명칭을 부여할 예정이다.

 

나우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11601017§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