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스티븐 호킹 “명왕성 탐사 이유는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 - 명왕성 하트

 

 

 

스티븐 호킹 “명왕성 탐사 이유는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

 

입력: 2015.07.15 13:08

 

 

 

 

영국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73) 박사가 인류의 첫 명왕성 탐사를 축하하는 내용의 의미있는 메시지를 보냈다.

 

호킹 박사는 한국시간으로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 미 항공우주국(NASA)의 뉴호라이즌스호가 성공적으로 명왕성에 근접 통과한 직후 이를 축하하는 영상 메시지를 공개했다.

 

박사는 "10년 간에 걸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 탐험에 나선 개척자 NASA에 축하를 보낸다" 면서 "뉴호라이즌스호의 명왕성 탐사는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밝혔다.

 

특히 박사는 이번 탐사가 갖는 의미에 대해 설파했다. 호킹박사는 "오랜 시간 인류는 미스터리한 명왕성에 대해 알고 싶어했다" 면서 "우리는 탐험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인간이고 무엇인가 알기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호킹 박사는 그간 줄기차게 우주 탐사가 갖는 중요성에 대해 강조해 왔다. 지난 2월에는 영국 런던 과학 박물관 행사에 주빈으로 참석해 ‘우주 탐사’는 미래의 인류 생존을 위한 ‘생명보험’과도 같다는 의미심장한 연설을 했다.

 

당시 호킹 박사는 “지금도 지구상에는 우리가 풀지 못한 많은 문제가 있다. 우주 탐사는 이에대한 다른 접근방식을 제공해 주는 계기가 된다” 면서 “다른 행성의 식민지화를 통해 우리 인류가 사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우주 탐사는 인류의 생존을 위해 중요한 것” 이라고 밝혔다. 

 

또한 2년 전에도 박사는 “향후 1000년 내에 인류는 생존을 위해 지구를 떠나야 한다” 면서 “점점 망가져 가는 지구를 떠나지 않고서는 인류의 새천년은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지난 2006년 발사된 인류최초의 무인 소행성 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호는 무려 9년 6개월, 일수로 3462일 만에 56억 7000만 ㎞를 날아가 목적지인 명왕성에 도착했다. 이후 뉴호라이즌스호는 2016년~2020년 사이 카이퍼 벨트를 지나 오는 2029년 태양계를 완전히 떠나게 된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15601014&section=&type=daily&page=

 

 

 

 

"'명왕성 하트' 쪼개져 있더라"…좌우 확연히 달라

(종합)

 

송고시간 | 2015/07/15 10:14페이스북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임화섭 특파원 = 미국의 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에 접근해서 찍은 사진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왜행성 표면에 있는 '하트' 무늬의 좌우가 달라 쪼개진 모양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뉴호라이즌스에 실린 '랠프' 관측 장비의 컬러 필터 3개를 써서 얻은 명왕성과 그 위성 카론의 사진을 15일(이하 한국시간) 공개했다.

 

이 사진은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에 가장 근접하기 하루 전날인 13일 오후 4시 38분(이하 한국시간)에 찍은 것이다.

 

이 탐사선은 14일 오후 8시 49분께 명왕성에 가장 근접했으며, 근접조우를 성공리에 마친 사실이 15일 오전 10시께 지구와의 교신으로 확인됐다.

 

필터를 사용한 이 사진을 보면 명왕성 표면에 있는 밝은 하트 모양 지형의 좌우는 색 특성이 서로 다르다고 NASA는 설명했다.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명왕성 모습(연합뉴스DB)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명왕성 모습(연합뉴스DB)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명왕성 모습(연합뉴스DB)미국 항공우주국이 제공한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촬영한 명왕성의 사진. 아래 부분의 밝은 하트 모양은 거대한 운석의 충돌 흔적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트의 좌측, 즉 서쪽 부분은 이 사진에서 복숭아색으로 나오며, 마치 아이스크림콘처럼 생겼다. 이와 대조적으로 하트의 우측, 즉 동쪽 부분은 얼룩덜룩하며 전체적으로 푸르스름한 색을 띠고 있다.

 

이런 색 차이는 하트 모양 지역의 특성이 균일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 준다.

다만 이는 필터를 이용해 얻은 것이므로 실제로 이렇게 보이는 것은 아니다.

필터를 통해 본 카론의 표면 역시 알록달록한 색깔을 띠고 있다.

 

한편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과의 근접조우 후 보낸 신호와 데이터는 지상 기지에서 15일 오전 10시가 되기 몇 분 전에 수신됐다.

 

이는 명왕성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워낙 멀어서 빛의 속도로 전파 신호가 전달되는 데도 6시간여가 걸리고, 탐사선이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데도 시간이 걸린 탓이다.

 

여기에는 뉴호라이즌스가 근접조우를 성공리에 마쳤음을 알리는 비행 성공 메시지가 포함돼 있었다. NASA는 이에 '집에 전화하기'(Phone Hom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오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초당 2천 비트 정도여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려면 18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즉 내년 말이 돼야 데이터 전성이 완료된다는 뜻이다.

 

명왕성은 1930년 미국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1906∼1997)가 발견했고 곧바로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분류됐지만, 국제천문연맹(IAU)은 2006년 8월 행성에 대한 기준을 바꾸면서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격하'해 재분류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solatido@yna.co.kr 2015/07/15 10:14 송고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5/07/15/0608000000AKR2015071504475109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