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태양이 두 개 뜨는 쌍성계의 둘레 도는 행성 발견 / 태양의 1년…6분 영상

 

 

 

태양이 두 개 뜨는 쌍성계의 둘레 도는 행성 발견

 

입력: 2016.02.15 08:21


일부 과학자들은 최초 외계 행성을 발견했을 때 아마도 두 개의 별이 같이 존재하는 쌍성계에는 행성이 쉽게 생기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시 말해 스타워즈의 고향 타투인 행성처럼 태양이 두 개 뜨는 행성은 별로 없다는 것이었다.

 

사실 우주에는 태양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의 별이 서로 공전하는 쌍성계가 흔하므로 이 논쟁은 우주에 얼마나 행성이 많으냐는 질문과도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별이 있으면 그 중력의 간섭 작용 때문에 행성이 쉽게 살아남지 못하거나 생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쌍성계 주변의 행성을 잇달아 발견했다. 하지만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했다.

 

라이스 대학의 안드레아 이셀라 교수(Andrea Isella)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450광년 떨어진 HD 142527이라는 젊은 쌍성계 주변에서 행성이 생성되고 있는 증거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세계 최대의 전파 망원경인 ALMA(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를 통해 세밀한 관측을 시도했는데, 그 결과 본래 예상과는 달리 동반성의 중력 간섭에 의해 새로운 행성의 생성이 촉진되는 증거를 발견했다.

 

사진에서 중앙은 두 개의 쌍성을 표시한 것이고 주변에 보이는 고리는 가스와 먼지의 모임이다.

여기서 붉은색은 먼지의 덩어리, 그리고 녹색과 파란색은 일산화탄소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인데, 대략 1/3 정도 되는 부분에는 일산화탄소가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여기서 새로운 얼음과 먼지들이 합체되면서 행성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얼어붙은 덕분에 전파 망원경에 그 파장이 잡히지 않는 것이다. 연구팀에 의하면 이는 새로운 행성이 형성되는데 중요한 과정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 쌍성계의 중력 간섭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에서 쌍성계 주변에서 새로운 행성이 생성되는 과정을 포착하기는 했지만, 아직 쌍성계 주변 행성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 분명한 것은 타투인 행성처럼 두 개의 태양이 뜨는 행성이 불가능한 건 아니라는 점이다.

 

 

나우뉴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215601001&section=&type=daily&page=  

 

 

 

 

[우주를 보다]

이글이글’ 태양의 1년…6분 영상에 담기다

 

입력: 2016.02.15 14:19



 


지금으로부터 6년 전인 지난 2010년 2월 11일(이하 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측위성이 우주로 발사됐다. 바로 역대 최초로 태양이 방출하는 자기장과 극(極)자외선을 관측하는 태양활동관측위성 SDO(solar dynamics observatory)다.

 

지난 12일 NASA 측은 SDO 발사 6주년을 기념해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의 활동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을 보면 태양의 표면 위로 춤을 추듯 타오르는 물질이 코로나(corona)다. 코로나는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층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100만℃에 달하는 고온을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X선과 자외선 등 태양풍을 내뿜는다.

 

 

 

태양으로부터 끊임없이 지구로 불어오는 태양풍은 초속 400㎞에 달하며, 코로나의 홀이 육안으로 확인될 때에는 그 속도가 시속 800㎞에 이르기도 한다. 문제는 태양풍이 지구에까지 날아와 통신장치 및 위성항법장치(GPS)에 피해를 미친다는 사실로 이 때문에 SDO는 24시간 코로나의 활동을 관측한다.

 

공개된 이 영상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1년 여 간의 태양 활동을 단 6분 31초 만에 담고있다.   

 

그간 1억 장이 넘는 태양사진을 촬영한 SDO는 장착된 네 개의 망원경으로 3만 6000km 고도의 정지궤도에서 10개의 다른 종류의 파장을 이용해 태양을 촬영한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215601010§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