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과학]
키 106cm…인니 난쟁이 ‘호빗’ 기원은 아프리카
입력 : 2017.04.24 14:25
▲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지난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리앙 부아 동굴에서 호미닌(Homonin·초기인류) 화석이 발견돼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만한 이 화석은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로 명명됐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진 이름은 호빗(hobbit)이다.
그 이유는 키가 106cm, 몸무게 25kg에 불과해 마치 소설과 영화 속에 등장하는 ‘반지의 제왕’의 난쟁이족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최근 호주국립대학 연구팀은 호빗은 250만 년 전부터 170만 년 전 사이 아프리카에 살았던 고인류인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그간 호빗을 둘러싼 오래 고고학계의 논쟁에 새 학설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약 10만 년 전 지상에 나타난 호빗은 그간 고고학계에 큰 논란을 안겼다. 이중 하나는 과연 호빗이 왜소증이나 장애를 가진 현생인류의 조상뻘인지, 아니면 멸종한 별개의 종인지 여부였다. 많은 학자들은 호빗이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에서 작은 사이즈로 진화한 종이라는 것에 방점을 찍었으나 일부에서는 새로운 종이 아닌 다운증후군같은 유전적 질환을 앓은 인류의 초기 조상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번에 연구팀은 호빗의 두개골, 이빨, 다리, 팔 등 총 133개의 화석을 다른 호미닌과 비교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이 호모 하빌리스와 유사한 자매종이라고 결론지었다. 최초의 사람 속(屬)에 속하는 호모 하빌리스는 '도구를 만드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현생 인류의 직계조상인 호모 에렉투스와 공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호빗은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보기 힘들다는 주장인 셈이다.
연구를 이끈 데비 아규 박사는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구조 등 호빗과 호모 하빌리스는 독특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이에 반해 다른 종들과는 어떤 공통점도 찾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빗은 최초 아프리카를 기원으로 등장해 아마도 200만 년 전 쯤 고향을 떠나 플로레스섬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면서 "어떻게 아프리카를 떠나 이 지역에 정착했는지는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424601009§ion=&type=daily&page=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폭우·산사태 대재앙 겪은 마을 하늘 위 나타난 신(?) / 남극 ‘피의 폭포’ (0) | 2017.04.27 |
---|---|
+ 왜 억만장자들은 지하 벙커를 준비하는가? - 지구 최후의 날 대비? (0) | 2017.04.27 |
+ 멸망의 징표? 우주에서 지구로 날라 온 것들은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었다 (0) | 2017.04.26 |
+ '불의고리' 칠레 태평양연안서 규모 7.1 지진…주민 긴급대피 (0) | 2017.04.25 |
+"중국군, 1급 전비태세…북중접경 20만병력 명령 대기" - 전쟁발발 직전의 단계 (0) | 2017.04.25 |
+ 2017 이후 - 한국 예언서 해독 [무학비기이본] + [송하비결] + [격암유록] + [추배도] / 동,서양 예언 총집합 (1) | 2017.04.23 |
+ '외계인 찾기' 1억弗 프로젝트…아직까진 인간 휴대폰 신호만..?. SHOCKING UFO (0) | 2017.04.23 |
+ 대한민국에 발령된 '꼰대' 주의보 [카드뉴스] (0) | 2017.04.22 |
+ 한 대 18억원…하늘 나는 자동차 럭셔리 ‘플라잉카’ 첫 공개 (0) | 2017.04.21 |
+ "洪 준표 대선후보 '돼지흥분제 성폭력 모의' 충격적…후보자격 없다" (0) | 201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