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타원보다는 담배 모양? 8개 방추형 은하 발견 / '블랙홀 동생' 중성자별 충돌

 

 

 

[아하! 우주]

타원보다는 담배 모양? 방추형 은하 발견


입력 : 2017.10.17 09:07




▲ 긴 지름을 축으로 회전하는 방추형 은하의 모형.

(사진=J. Chang, PMO/ T. Müller, HdA)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가 있고 은하의 모양이나 구조도 은하의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지구에서 봤을 때 은하는 나선 은하, 타원 은하, 불규칙 은하 등 몇 개의 범주에 따라 모양을 구분할 수 있다. 문제는 본래는 3차원적인 구조물이지만,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볼 때는 2차원 물체로 보인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서로 다른 모습을 지닌 은하라도 지구에서 봤을 때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는 타원 은하지만, 실제로는 호빵 같은 모양이 아니라 시가 담배 모양으로 생긴 은하(Cigar shaped galaxy)가 존재한다. 이런 방추형(spindle) 은하는 공을 납작하게 만든 타원 은하보다 드물지만, 사실 이 둘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이 있다. 은하의 자전 방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600개 은하의 자전 방향을 조사해 이들 가운데 방추형 은하가 얼마나 많은지 검증했다. 겉보기에는 타원 은하처럼 보여도 위의 모식도처럼 사실은 긴 지름을 축으로 자전하고 있다면 방추형 은하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타원 은하는 짧은 지름을 중심축으로 회전한다.


이 조사에서 연구팀은 8개의 새로운 방추형 은하를 발견했다. 물론 여전히 일반적인 타원 은하가 더 흔하지만, 방추형 은하도 희귀한 건 아닌 셈이다. 이를 근거로 연구팀은 방추형 은하가 생각보다 훨씬 흔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방추형 은하가 어떻게 생성될 수 있을까?


연구팀의 모델에 따르면 방추형 은하는 은하의 충돌 과정을 통해서 생성된다. 은하는 충돌과 합체를 통해 커지는 데 대부분은 큰 은하가 작은 은하를 흡수하면서 더 커지게 된다. 이 경우 큰 은하의 구조도 변할 수 있지만, 대개는 나선 은하나 타원 은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개의 나선 은하가 적당한 각도로 충돌하는 경우 디스크 부분에 있던 별이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독특하게 긴 축을 중심을 자전하는 은하가 탄생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방추형 생각보다 쉽게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은하의 구조와 형태는 우리의 보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셈이다. 우리 우주에 수천억 개의 은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아직도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매우 독특한 형태의 은하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계속해서 연구를 통해 이 비밀을 하나씩 풀어나갈 것이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017601003&section=&type=daily&page= 

 

 

 

'블랙홀 동생' 중성자별 충돌, 중력파·전자기파로 첫 관측

 

송고시간 | 2017/10/17 00:00

 

중성자별 충돌 후 모습

 

중성자별 충돌 후 모습한국이 운영하는 KMT넷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측소가 포착한 중성자별 충돌 후의 모습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금, 납 등 금속 원소 생성 비밀 '킬로노바' 현상 입증
국제공동연구팀 8월 관측…"다중신호 천문학 탄생 부른 역사적 사건"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우주에 있는 금(金)·백금·납·우라늄 등 무거운 금속 원소 대부분의 근원인 '중성자별 충돌' 현상이 사상 최초로 중력파와 전자기파로 동시에 관측됐다.

 

중성자별은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남은 잔해다. 밀도가 매우 높고 질량은 대체로 태양의 1.1∼2.0배 수준으로 백색왜성보다는 크고 블랙홀보다는 작다.

 

블랙홀이 아닌 중성자별끼리 충돌하는 것이 중력파로 관측된 것, 그리고 중력파로 관측된 천문 현상이 다른 관측 수단으로 함께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라이고(LIGO)·비르고(VIRGO) 중력파 관측단 등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은 17일(한국시간) 이런 내용을 포함한 연구 결과를 전 세계 언론에 공개했다.

 

이번 발견은 중성자별 충돌의 증거로 예측돼 온 '킬로노바'(kilonova)라는 현상을 처음으로 명확히 관측한 사례다.

 

킬로노바는 중성자별 두 개가 서로의 주변을 돌다가 충돌하면서 합쳐져 블랙홀이 되는 전후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과정에서 중성자가 마구 튀어나오면서 무거운 원소들이 만들어진다. 이 중 상당수가 방사성 붕괴를 하면서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기파가 나온다.

 

우주에 있는 금(金)·백금·납·우라늄 등 무거운 원소들 대부분이 이런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8월 17일 관측된 중성자별 충돌 발견 과정

8월 17일 관측된 중성자별 충돌 발견 과정이번 중성자별 충돌 현상 관측 과정을 시간대별로 요약한 그림.

국내연구진은 이 중 중력파 신호 검출과 가시광선 신호 추적연구를 수행했다. [한국천문연구원 등 제공]

 

연구팀에 따르면 올해 8월 17일 오후 9시41분께 라이고·비르고 관측단이 중성자별 충돌에 따른 중력파 현상(GW170817)을 미국 2곳과 이탈리아 1곳에 있는 중력파 관측시설로 관찰했다.

 

중력파가 종료된지 2초 후부터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 전파망원경과 유럽우주관측소(ESO)의 인테그랄 감마선 전파망원경이 약 2초간의 짧고 약한 감마선 폭발 현상을 포착했다.

 

이어 약 11시간 후에는 약 1억3천만 광년 떨어진 은하 'NGC 4993'에서 이 중력파 현상에 대응하는 천체가 가시광선으로 관찰됐다. 당시 지구에서 관측한 겉보기 등급은 약 20등급이었다. 이는 맨눈으로 보이는 가장 희미한 별의 겉보기 등급(6등급)의 40만분의 1 수준이다.

 

중력파가 관측된 지 약 21시간 후부터 초기우주천체연구단 단장인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이끄는 광학 연구진은 GW170817에 대한 추적 관측을 했다. 여기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이 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칠레에서 운영하는 KMT넷 망원경과 서울대가 호주에서 운영하는 이상각 망원경 등이 쓰였다. 이런 추적조사를 통해 국내 연구진은 별의 광도 곡선과 색깔 변화 등이 킬로노바 현상의 이론적 예측과 일치함을 밝혔다.

 

국제공동연구진은 그 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X선 관측의 결과와 한국 연구진이 주도한 가시광선 영역 관측, 라이고·비르고 연구단의 중력파 관측을 종합해 이번 중성자별 충돌의 전모를 밝혀냈다.

 

연구 결과 이번 현상은 질량이 각각 태양의 1.36∼1.60배, 1.17∼1.36배로 추정되는 중성자별 두 개가 충돌하면서 발생했다.

 

이번 관측 결과는 과학 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즈'(PRL), 천체물리학 권위지 '애스트로피지컬 저널 레터즈'(ApJL) 등에 논문 7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이 연구에는 세계 45개국, 900여 기관에 소속된 50여개 연구그룹의 과학자 3천500여명이 참여했다. 이 중 38명은 한국중력파연구단,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성균관대 우주과학연구소 등에 소속된 국내 과학자들이다.

 

임명신 교수는 "중력파와 X선, 감마선, 광학 관측 등의 협동연구를 통해 중력파 신호가 정확히 어디에 있는 어떤 천체에서 나온 것인지 처음으로 밝혀낸 역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중력파뿐만 아니라 전자기파 등 다른 관측 수단을 함께 이용해 천체 현상을 연구하는 '다중신호 천문학'(multi-messenger astronomy)이 탄생했음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solatido@yna.co.kr 2017/10/17 00: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it/2017/10/16/2403000000AKR2017101611870001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