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의 달 ‘엔셀라두스’ 생명있을 가능성 더 커졌다
입력 : 2017.11.08.
토성의 달 엔셀라두스의 지표면 사이로 뿜어져 나오는 액체 기둥 (사진=NASA)
지난 4월 지표면 아래 바다에 생명체의 에너지원이 되는 수소와 이산화탄소 분자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던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대한 추가 연구 자료가 공개됐다.
IT매체 씨넷은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아스트로노미’에 발표된 연구자료를 인용해 엔셀라두스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원(熱源)이 수십억 년 동안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엔셀라두스 지표면 아래 바다는 오랜 기간 동안 조석력(tidal force) 덕분에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었고 물이 순환하면서 바위를 함께 마찰시켜 마찰열을 발생시켰다. 또, 이렇게 발생한 열이 지표면 쪽으로도 올라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엔셀라두스의 지표면 아래 바닷물이 데워지는 과정 (사진=NASA)
또, 연구진들은 이러한 가열 시스템이 "수천만 년에서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바닷물이 그렇게 오랜 기간 따뜻하게 유지되었다면 일종의 외계 수생 생물이 바닷속에서 진화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었을 수 있다고 씨넷은 전했다.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는 얼어있는 지표면 밑에 바닷물이 흐르고 있고, 얼어붙은 지표면의 균열 사이로 액체 기둥을 내뿜고 있는 것이 발견돼 많은 천문학자들을 매료시켰다. 2015년 미 항공우주국(NASA) 카시니 호는 엔셀라두스에서 뿜어져 나오는 액체 기둥을 포착했고 과학자들은 샘플을 수집해 오랜 기간 분석해왔다.
그 결과 지난 4월, 엔셀라두스의 숨겨진 바다 속에 생명체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화학 및 열원을 있다고 NASA는 발표했다. 하지만, 실제로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정확한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필수 조건은 지금까지 발견된 열과 물, 분자 외에도 생명체가 생성될 만큼 충분한 기간 동안 이런 환경이 유지되었는지도 중요하다.
얼음으로 뒤덮인 엔셀라두스 바다에서 생명체의 에너지원이 되는 수소, 이산화탄소가 다량 검출됐다.
(사진=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지구의 경우, 지구가 생겨난 이후 약 5억 년이 지나지 않아 생명체가 출현했다고 알려져있다. 엔셀라두스가 실제로 수백만 년 또는 수 십억 년 동안 따뜻한 바닷물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면 이는 생명체를 찾기 위한 긍정적 신호일 수 있다.
유럽 우주국(ESA) 카시니의 프로젝트 과학자 니콜라스 알토 벨리는 성명을 통해 "카시니호가 수집한 정보보다 엔셀라두스의 기둥에서 뿜어져 나오는 유기분자를 분석하는 미래의 미션이 더 정확하게 생명체 존재 증거를 말해 줄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지디넷코리아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1108092819&type=det&re=
[아하! 우주]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고리가 있다?
입력 : 2017.11.09 14:06
▲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변의 먼지 고리. (사진=ESO)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작은 적색왜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Proxima Centauri)다. 물론 4.25광년이라는 거리가 아주 가까운 것은 아니지만, 천문학자가 관측할 수 있는 별 가운데는 가장 가깝기 때문에 집중적인 관측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이 별 주변에 지구와 비슷한 암석형 행성인 프록시마 b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안달루시아 천체 물리학 연구소(Instituto de Astrofísica de Andalucía)의 귈렘 안글라다(Guillem Anglada)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천문학자들은 세계 최대의 전파 망원경인 알마(ALMA)를 이용해서 프록시마에 먼지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프록시마 b가 별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공전하는 것과 달리 이 먼지 고리는 지구–태양 거리의 1~4배 정도 거리에 있으며 밀리미터에서 킬로미터 크기 먼지와 소행성으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를테면 태양계의 소행성대와 비슷한 천체들의 모임인데, 그 질량은 모두 합쳐 지구의 100분의 1 수준으로 얼마 되지 않지만 너비는 수백만㎞에 달한다.
물론 고리가 있다고 해서 토성의 고리처럼 선명하게 눈으로 볼 수 있는 고리가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프록시마 b 자체가 작고 어두운 별로 지구에서 가까워도 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고리 역시 매우 희미해서 현재 가장 강력한 전파 망원경으로 간신히 그 정체가 확인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온도도 매우 낮아 영하 230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고리의 발견에 천문학자들이 흥분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소행성대와 카이퍼 벨트 등 고리 모양으로 분포한 작은 천체의 모임을 지닌 태양계와 마찬가지로 프록시마 센타우리 역시 복잡한 행성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프록시마 행성계에 대해서 추가 관측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태양계에 행성이 여러 개 있듯이 프록시마 행성계 역시 여러 행성을 거느릴 가능성이 크며 어쩌면 생명체가 살 만한 행성이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생명체가 사는 외계 행성이 존재하는지, 혹은 먼 미래 인류가 정착할 수 있는 외계 행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우리의 가까운 이웃 별이 지니고 있을지 모른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109601007§ion=&type=daily&page=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별이 죽어가며 남긴 ‘빛의 메아리’ 2년 관측 끝에 포착 성공 [우주를 보다] (0) | 2017.11.13 |
---|---|
+ 이것이 태양의 미래?…죽어가는 별의 표면을 보다 (0) | 2017.11.12 |
+ UFO 뉴스 [11/6 ~ 11/10/2017]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7.11.11 |
+ ‘초승달 지구’ …50년 전 아폴로 4호 촬영 - 푸른 지구 사진 공개 (0) | 2017.11.10 |
+ 트럼프는 신세계 권력을 제압했다 / "그림자 정부"는... 대항해올 때 전쟁을 불사한다 (0) | 2017.11.10 |
+ 110억 광년…역대 가장 먼 나선은하 발견돼 [아하! 우주] (0) | 2017.11.07 |
+ 유령 마을?…우주 지배하는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0) | 2017.11.06 |
+ UFO 뉴스 [11/1 ~ 11/5/2017] / 태양 주변에, 지구촌 상공에 여기저기 출현하고 있는 UFO 들 동영상 모음 (0) | 2017.11.06 |
+ UFO 초강력 빔으로 분해시키는 무인기 / 초대형 고대 지하 도시 발견 (0) | 2017.11.05 |
+ 작은 별 주위 도는 목성만한 거대 행성 발견 (0) | 2017.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