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된 인간 50년 안에 부활…줄기세포로 젊게
만든다”
입력 : 2018.03.06 13:33
▲ “냉동된 인간 50년 안에 부활…줄기세포로 젊게 만든다”
“인체냉동보존술은 우리가 죽음을 속이는 가장 좋은 기회일 수 있다”
이는 인류가 곧 이 기술로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장기 보관한 시신을 되살려내리라 믿는 미국의 한 전문가가 한 말이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5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州) 디트로이트에 있는 ‘냉동보존연구소’(CI)의 현 책임자인 데니스 코왈스키(49) 소장과의 인터뷰를 전했다.
▲ ‘냉동보존연구소’(CI)의 현 책임자인 데니스 코왈스키(49) 소장.
코왈스키 소장은 “언젠가 인류는 냉동보존 상태에 있는 시신을 되살리고 줄기세포 기술로 다시 젊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인체냉동보존술로 냉동된 최초의 인간은 앞으로 50~100년 안에 소생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가 맡고 있는 냉동보존연구소는 인체냉동보존술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정립한 미국의 물리학자 고(故) 로버트 에틴거(1918~2011)가 1976년 뜻을 같이하는 3명과 함께 세운 비영리 기관으로, 현재 1인당 2만8000달러(약 3000만 원)의 보관 비용을 받고 인체냉동보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시신을 장기 보관하는
인체냉동보존술을 보유한 미국 냉동보존연구소(CI).
현재 이 연구소에는 환자 160명과 반려동물 100마리 이상이 냉동보존돼 있으며, 사후 냉동보존을 계획한 가입자만 2000명에 달한다.
얼마 전 자신은 물론 가족 모두가 사후 냉동보존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밝힌 코왈스키 소장은 “심정지 상태에 빠진 어떤 사람을 되살리는 데 5~30분 정도가 걸리지만, 소생 가능성은 체온과 생존 기간에 따라 다르다”면서 “사람의 체온을 더 낮추면 시간을 더 벌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인체냉동보존술은 줄기세포 연구의 연장선에 있으며 줄기세포 기술은 손상된 세포의 치료를 돕기 위해 냉동된 환자들에게 주입될 수 있다”면서 “미래에 신체 나이를 되돌릴 최첨단 기술이 나오면 나이 든 사람들이 건강했던 20대로 되돌아가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극저온학과 동결보존으로도 알려진 인체냉동보존술은 시신이나 신체 일부를 보존하기 위해 냉동하는 기술이다. 지지자들은 이 기술이 죽음을 속이는 기적적인 절차로 보고 있는데 의학이 발전하면 이들을 되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냉동보존연구소는 웹사이트를 통해 완전한 죽음은 뇌의 필수 정보가 파괴됐을 때만 일어난다고 말한다. 뇌 보존은 냉동보존술이 성취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이다.
현재 인체냉동보존술은 법적으로 누군가가 사망했을 때만 냉동할 수 있다. 냉동 과정은 뇌 손상 방지를 위해 환자가 사망하는 즉시 시작돼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시신의 온도를 조금씩 낮추기 위해 얼음 욕조에서 냉각된다. 그다음 전문가들이 시신에서 혈액을 제거하고 동결보호제를 주입한 뒤 영하 196℃의 액체질소를 채운 금속 용기 안에 냉동 보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306601007§ion=&type=daily&page=
부상병 골든타임 연장…美 ‘생체시간’ 지연 기술 만든다 입력 : 2018.03.06 15:54
▲ 영화 ‘핵소 고지’의 한 장면. ‘바이오스타시스’(Biostasis)로 불리는 이 프로그램은 살아있는 세포의 생화학적인 과정을 늦춰 세포 조직이 파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늦추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즉 이를 통해 다친 병사의 생존율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다친 병사의 생체 시간을 늦춰 골든 타임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최근 연구를 시작했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306601016§ion=&type=daily&page=
전쟁터에서 부상병이 살아남으려면 중증외상 환자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1시간 안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총탄이 날아드는 곳에서 골든 타임을 지키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다친 병사의 생체 시간을 늦춰 골든 타임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최근 연구를 시작했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자들은 자연계에서 일부 유기체가 특정 단백질을 사용해 이런 방식으로 세포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물곰’으로 불리는 완보동물은 완전히 얼어붙은 극저온이나 수분이 거의 없는 곳부터 방사선이 내리쬐는 곳까지 극한의 환경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해 휴면 상태에 들어선다. 이 상태에 들어서면 모든 대사 활동이 정지된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다.
이들 전문가는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이런 과정을 근거로 병사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인간에게 비슷한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완보동물처럼 나무개구리도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들은 며칠 동안 완전히 얼어붙어도 죽지 않고 살 수 있다.
이에 대해 프로그램 책임자인 트리스탄 매클루어-베글리 박사는 “자연은 영감의 원천”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분자 수준에서 생명체는 일련의 지속적인 생화학 반응이다. 종종 이런 반응은 화학 반응의 속도를 높이는 촉매로 불리는 단백질이나 ‘분자기계’에 의해 발생한다”면서 “연구 목적은 분자기계를 제어해 전체 시스템을 거의 같은 속도로 늦춰 부작용을 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는 초기 단계로 앞으로 5년 동안에 걸쳐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서울신문 나우뉴스]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본 규슈화산 '폭발적 분화' / 화산폭발, 북한 핵실험이 원인? /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 (0) | 2018.03.07 |
---|---|
+ [충격] 또 결사의 폭로 - 미군은 UFO 격추무기를 소유 '자유 에너지도 개발' - 캐나다 전 국방장관 (1) | 2018.03.07 |
+ 中 톈궁 1호 추락 임박…한반도 떨어질 가능성도 - 무게 8.5t 통제 불가 (0) | 2018.03.07 |
+ 남북정상회담 4월 말 판문점 개최 합의…"북 비핵화 의지 분명히 밝혀" - 미국과 대화 용의" (0) | 2018.03.06 |
+ 일본 남부 신모에다케 화산 폭발적 분화…연기 2천300m 치솟아 (0) | 2018.03.06 |
+ 대북특사단, 김정은과 4시간12분 회동…"결과 실망스럽지 않다" - 비핵화, 북미대화, 정상회담 관련 합의도 (0) | 2018.03.06 |
+ 안희정의 몰락 - 성폭행 미투 - 비서 김지은 “나 말고 安지사에 당한 피해자 또 있다” (0) | 2018.03.06 |
+ 심상찮은 '불의 고리'…자카르타 규모 8.7 대지진 가능성에 인니 긴장 (0) | 2018.03.05 |
+ 불가사리 수 천 마리 떼죽음...원인은 ‘동쪽에서 온 괴수’? (0) | 2018.03.05 |
+ 호킹 박사, 빅뱅 전을 말하다… “시간도 존재하지 않았다” - 그의 생각 (0) | 2018.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