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도덕적 본성 / 불평등은 동물사회 건강도 해친다

불평등은 동물사회 건강도 해친다

도덕적 본성, 인류 등장 이전부터 존재

(서울=연합뉴스)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분노감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며 동물 사회에서도 불평등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져와 사회의 건강을 해친다는 연구가 나왔다고 MSNBC 뉴스가 20일 보도했다.

미국 에머리 대학의 프란스 드 발 교수는 최근 열린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회의에서 원숭이와 침팬지 연구를 통해 불평등이 일으키는 갈등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사회내 불평등의 역할이 매우 과소평가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말하자면 불평등은 건강에 해롭다"고 단언했다.

드 발 교수는 지난 해 월가(街)에서 시작된 반(反)불평등 시위와 본질적으로 같은 움직임이 원숭이와 침팬지에서도 나타난다면서 "평등 의식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카푸친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한 원숭이에게는 계속 맛있는 포도를 주고 다른 원숭이에게는 계속 무덤덤한 오이를 주면서 반응을 관찰했다. 혼자만 있을 때는 오이를 잘 받아 먹던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가 계속 포도를 먹는 것을 보자 관찰자에게 오이를 던지고 화를 내며 벽을 두드렸다.

드 발 교수는 "이는 원숭이판 월가 시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실험을 통해 불평등이 오이를 받은 원숭이에게만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100만달러 보너스를 받는 금융가들처럼 포도만 받아 먹은 원숭이도 상대의 분노를 견뎌야 하는 힘든 상황에 놓이게 만든다고 말했다.

사진은 과천 서울동물원의 흰손기번원숭이(자료사진)드 발 교수는 어떤 영장류는 이런 상황에서 메시지를 포착하기도 한다면서 예를 들어 동료가 포도를 얻지 못하면 자기도 포도를 거부하는 행동을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물론 모든 영장류가 이렇게 행동하지는 않는다.

침팬지의 이기적 행동과 이타적 행동을 관찰한 그의 다른 연구에서 침팬지들은 다른 침팬지의 관심을 끌고 있을 때는 먹이를 나누는 경향을 보였지만 상대가 먹이를 나눠 먹자고 강요할 때는 나누기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 발 교수는 이런 연구의 기저에 깔려 있는 원칙은 공평성에 대한 감각과 도덕적 평등을 둘러싼 분노, 화해와 협력의 능력 등은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지각은 인류가 침팬지로부터 갈라지기 훨씬 전부터 뇌에 입력돼 있으며 이는 "뇌의 매우 오래 된 부분이 도덕적 결정에 관여한다"는 신경학적 증거로 입증된다고 밝혔다.

그는 까마귀와 개들, 심지어 코끼리에서도 평등 의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생물학자들의 연구로 계속 입증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youngnim@yna.co.kr 2012/02/21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2/02/21/0619000000AKR2012022105530000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