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모되는 사람들 : 경제학, 그것은 "살인의 과학"
Expendable People: Economics, a “Murderous Science”
By John Kozy
Url of this article:
http://www.globalresearch.ca/
번역: Peterkim
미국에 정착한 영국인들은 영국문화를 함께 가져왔다. 식민지는 단지 작은 영국이었다. 식민지인들이 저항을 일으켰을때 그들은 단지 영국왕의 독재로부터 자유하기를 시도했던 것이다, 그들은 문화를 바꾸려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영국식 삶의 방식에 아주 행복해했다. 그들은 영국 체제를 통상의 법으로 수행하며 채택했다.
미국의 오늘에는 16세기 문화가 살아있다 그래서 미국은 많은 점에서 과거지향적인 나라이다. 미국인들은 시간을 500년 거슬러 올라가서 살고 있다.
The English who settled America brought English culture with them. The colonies were nothing but little Englands. When the colonists revolted, they were merely trying to get free of the tyrannical English monarchy, not trying to change the culture. They were perfectly happy with the English way of life. They carried on its practices and adopted the English system of common law.
That sixteenth century culture is alive and well in America today and is why America is in many respects a backward nation. Americans are living 500 years behind the times.
사람들은 인류제도가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 존재한다고 믿고 싶어한다, 허나 그런 견해가 맞다고 할 만한 증거가 별로 없다. 만일 사람의 삶의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인류 제도의 목적이 아니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미국의 헌법은 기초자들이 국가를 통해 이루기를 바라는 6개 목표를 갖고 있다. 미국의 국민들은 이런 것을 목표한다.
1) 좀더 완전한 합중국을 이룬다.
2) 정의를 수립한다.
3) 국내의 안정을 확보한다.
4) 공통의 방위를 제공한다.
5) 일반적인 복지를 조장한다.
6) 우리 스스로와 후손에게 자유의 축복을 확보해준다.그리고 미국을 위한 헌법을 수여하고 수립한다.
One would like to believe that human institutions exist to enhance the lives of people, but there is very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at view. If enhancing the lives of people is not the purpose of human institutions, what is? The American Constitution lists six goals the founders expected the nation to accomplish:
We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1) form a more perfect Union, (2) establish Justice, (3) insure domestic Tranquility, (4) provide for the common defence, (5) promote the general Welfare, and (6) secure the Blessings of Liberty to ourselves and our Posterity, do ordain and establish this Constitution fo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불행하게도 어떤 미국 정부도 이런 목표를 확보하는 식으로 통치하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 정부는 헌법적이지 않으며 실패한 국가이다. 혹은 미국 헌법 기초자는 비현실적인 정치 선전을 한 것처럼 간주되곤 했다. 어쨋든 미국정부는 헌법이 이뤄내려는 존재가 아니다. 의문은 왜그런가에 있다. 답은 어리석은 정치적 경제에 있고.
Unfortunately, no American government has ever tried to govern in a way that seeks to attain these goals. So the American government is either an unconstitutional, failed state or else the framers of the Constitution must be thought of as having engaged in unrealistic political propaganda. At any rate, the American government is not what the Constitution makes it out to be. The question is why? The answer is the stupid political economy!
미국에 정착한 영국인들은 영국문화를 함께 가져왔다. 식민지는 단지 작은 영국이었다. 식민지인들이 저항을 일으켰을때 그들은 단지 영국왕의 독재로부터 자유하기를 시도했던 것이다, 그들은 문화를 바꾸려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영국식 삶의 방식에 아주 행복해했다. 그들은 영국 체제를 통상의 법으로 수행하며 채택했다.
미국의 오늘에는 16세기 문화가 살아있다 그래서 미국은 많은 점에서 과거지향적인 나라이다. 미국인들은 시간을 500년 거슬러 올라가서 살고 있다.
The English who settled America brought English culture with them. The colonies were nothing but little Englands. When the colonists revolted, they were merely trying to get free of the tyrannical English monarchy, not trying to change the culture. They were perfectly happy with the English way of strife. They carried on its practices and adopted the English system of common law.
That sixteenth century culture is alive and well in America today and is why America is in many respects a backward nation. Americans are living 500 years behind the times.
영국인은 수백년동안 경제활동에 관여해왔다. 영국인은 아담스미스가 국부론을 저술하기 이전에 수백년동안 경제활동을 해왔다 ; 아담스미스가 한 일은 영국상인들이 해왔고 또 하길 원하는 사업을 뒷받침해주는 이론을 제공한 것이었다. 그것은 영국상인들이 하고싶은 대로 하게 하라는, 소위 '라쎄-파레' 의도였다. 다시말해서 정부의 규제나 세금에 걸리적거림이 없이 경제활동을 하게해주는 지배자를 위한 이론이다. 오늘날에도 이들 상인들은 싸게 구매해서 비싼 값에 파는 이익추구에 있어서 자유방임을 원한다.
The English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for hundreds of years before Adam Smith published his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 all he did was provide English merchants with a rationalization for what they had always done and wanted to do more of. Laissez-faire (let [them] do), to them, meant the ability to engage in economic practices without being subjected to governmental restrictions and tariffs. Then, like today, merchants wanted the freedom to profiteer by buying cheap and selling dear.
상인들은 그때나 지금이나 경제이론이 더많은 이익을 주는데 방해되지않는다면 난해한 것이든 뭐든 상관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건도 그렇지만 노동력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일은 고전경제학에서 이미 최대한으로 합리화해준 것이다. 임금에 관한 최소생계비 이론은 고전경제학에서 진일보한 것인데, 실제 시장에서는 생계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임금이 결정되는 성향을 띈다. 그 말은 노동자에게 식품이나 주거 같은 기초생계만을 제공한다는 이야기이다.
Merchants, then or now, have had little interest in abstruse economic theory unless its models promise greater profit. But buying cheap and selling dear applies to labor as well as materials, and the classical economists provide a rationalization for that maxim too. The subsistence theory of wages, advanced by classical economists, holds that the market price of labour always tends toward the minimum required for subsistence (that is, for basic needs such as food and shelter).
알프레드 마샬 같은 현대 미국경제학자도 장기적인 임금은 노동자의 생계와 재생산비용을 보전해주는 금액에 맞춘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그래서 공화당은 임금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고 최저임금을 유지시키는 정책으로 가는데 이는 16세기 당시에 영국상인들이 했던 것과 똑같은 정책이다. 또 상인한테 아첨하는 경제학자들의 행동과 동일하다.
상인들은 인간 양떼를 기르는 양치기 감시견이 되었는데, 우리 경제학자는 그에 관해 아무 생각이 없다. 그들은 완전히 영국식 사고방식을 따르고 있다.
Even Alfred Marshall, America’s first modern economist, was of the opinion that wages in the long run would tend to equal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costs. So when the Republican party seeks to eliminate regulations and keep the minimum wage low, they are acting just like sixteenth century English merchants and their boot-licking economists. Merchants become sheep dogs that herd human sheep, and our economists think nothing of it. They have adopted the British way of strife totally.
물론 노동자를 빈곤하게 만드는 것은 나쁜 일이지만 이미 세계화된 경제에서 노동자들은 황폐해졌다. 고전경제주의자들은 최저 임금이 노동자가 노동력 제공을 유지할 만큼 재생산의 여유가 있도록 충분하게 유지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세계화 경제에서 노동력은 저개발국가에 있으니 국내 노동자들은 전적으로 필요없게 되었다. 그러니 최저생계비를 준다고 하는 말도 의미가 없는 말이며 또 여타의 인도적 혜택도 의미없기는 마찬가지이다.
상인들이 보는 관점이나 경제학자의 견해는 국내 노동력은 소모품이 되었다. 그러니 왜, 그들에게 비용을 쓴다는 말인가?
Although this impoverishment of labor is bad enough, in a globalized economy it is devastating. The classical economists held that a subsistence wage had to be high enough to enable the workforce to reproduce itself in order to maintain a labor supply; in a globalized economy, the workforce needed exists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 domestic workforce is entirely unnecessary, so there is no need to even grant it subsistence wages or any other humane benefit. From a merchants’/economists’ point of view, domestic labor becomes expendable. Why pay it anything at all?
우리 경제학자들이라는 자들은 자기들에게 얼마나 사랑스런 세상을 변호해왔던가! 이들은 비극의 과학일뿐더러, 살인적 과학이다.
상인과 경제학자는 완전히 비인간적인 인간종의 계급을 구성했다. (비인간적 인간이란 말이 모순이 되지않는가?) 그것은 마치 두개의 다른 종족이 섞여있는 것처럼 보인다 - 인간의 종과 비인간의 종이 있다는 말이다. 이에 관해 프란시스 교황의 말을 들어보자,
"야만의 자본주의는 무슨 수를 쓰더라도 이익을 추구하는 이론을 가르쳤다... 사람은 생각하지 않는 착취의 이론말이다."
What a lovely world our economists advocate! Economics is not merely a dismal science, it is a murderous one.
Merchants and economists constitute a class of totally inhumane human beings. (Isn’t inhumane human a contradiction?) It seems as though two entirely different races have intermingled—the human race and an inhumane one. In the words of Pope Francis,
“A savage capitalism has taught the logic of profit at any cost . . . of exploitation without thinking of people.”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이런 경제를 지지하는가? 비록 그들의 재산을 쌓아둘 정도이고 가끔 우리 같이 행동하고 말하기도 하지만 그들은 우리 같은 사람이 아니다. 그들은 뼛속까지 사악하다. 실상은 비인간 존재는 인간이 아닐뿐더러 정신적으로 엇나간 존재다. 그런 부류 중에 아노드 콘스티노트라는 MIT 공대의 경제학자가 있다. 이자는 세계화를 정당화해주는 비교우위 이론이란걸 사용한다. 그는 이런 주장을 하곤 했다:
"리카르도는 한 국가가 광범위한 생산품을 모두 생산하려 하기보다 그들이 가장 값싸게 생산할 수있는 상품에 특화하므로써 국가가 성장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합리적인데, 리카르도는 한 국가가 다양한 생산품을 더 싸게 만들수 있다하더라도 그중에서 가장 값싸게 만드는 것에 집중하라는 이론이었다."
What kind of person would support this economy? Although they may revel in their fortunes and often act and speak like the rest of us, they are not like us. They are evil to the marrow of their bones. Logically, the inhumane are either not human or deranged.
One such person is Arnaud Costinot, an MIT economist, who uses the doctrine of comparative advantage to justify globalization. He is said to hold this:
“Ricardo thought that instead of trying to produce a wide range of goods, countries could grow by specializing in the goods they could produce most cheaply, and then trading those goods with other countries. This made sense, Ricardo claimed, even when a country could make multiple products more cheaply, in absolute terms, than other countries.
그럼 어떻게 할 것인가? 생각해보라, 리카르도는 영국의 경우에 포도주보다 의류를 더 싸게 만든다고 상정하고, 또 포르투갈은 의류보다 포도주를 더 싸게 만듦을 상정한다. 그때 포르투갈이 두가지를 모두 영국보다 값싸게 만듦을 상정할때 두 나라는 동일한 조건으로 교역하는 것에서 이득을 볼수있다: 영국은 의류제조에 특화를 해서 포도주를 수입하는데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포르투갈은 포도주 제조에 특화를 해서 그것을 영국 의류를 수입하는데 사용한다 - 그렇게 하면 의류를 수입하는데 가장 값싼 방식이 될 것이다, 비록 포르투갈이 영국보다 의류를 더싸게 만든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단지 리카르도가 말하지않은 한가지 일은 최악인데, 그는 지적인 속임수로 그것을 썼다. 리카르도는 "값싸게" 라는 용어를 쓰질않았다. 그는 의류나 포도주 한단위를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노동시간수'를 사용했다.사람의 노동시간수는 임금이 아니며 통화가치가 아니다. 그런 요소를 고려하면 생산비는 값싸지 않을수있다. 리카르도는 이런 중요요소를 고의적으로 누락시켜서 국가별 노동자를 착취하고 빈곤케하고 또 긍극적으로 파멸시켰다 - 이 얼마나 사악하며 비인간적인 목표란 말인가..
How? Suppose, Ricardo posited, that England produces cloth more cheaply than wine, while Portugal produces wine more cheaply than cloth. And suppose Portugal produces both products more cheaply than England does. Both countries could still benefit from trading in equal terms: England could specialize in making cloth, and trade that for wine. But Portugal could specialize in making wine, and trade that for England’s cloth — which would be the cheapest way to acquire cloth, even if Portugal’s own cloth was cheaper to make than England’s.”
Only thing is, Ricardo never wrote any such thing, and to describe what he wrote in this way is intellectual dishonesty at its worst. Ricardo never uses the word “cheaply.” He uses “the number of man hours needed to produce one unit of cloth or wine,” ‘Man hours worked’ is not a wage or a value of currency. The production may not be cheap. By deliberately misstating what Ricardo writes, economists advocate the exploitation and impoverishment of workers and ultimately their destruction—a truly evil and inhumane goal.
이것은 보수주의 진영이 빈곤계층에게 가하는 전쟁을 설명하는 사례이다. 일하는 가축은 그 효용성이 사라질때 폐기된다, 그래서 중산층을 파괴하는 술책도 인정사정없이 감행되었다. 개발도상국 노동자들이 생산에 투입될 때는 미국 중산층은 소모품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것이 미국 공화당의 목표였다. 그들은 돌봐야할 국민의 수효를 제거하므로써 정부 규모를 축소시키려한다.
This is the only explanation for the right wing’s war on the poor. Beasts of burden are disposed of when they have lost their usefulness, so destroying the middle class is not to be lamented. When the labor of underdeveloped countries became available to manufacturers, the American middle class became expendable. That is the American Republican party’s goal. It seeks to shrink the size of government by eliminating the people who need to be taken care of.
경제학자들은 자유교역이 모든 사람을 부유하게 만들것임을 믿게하려한다, 허나 경험은 우리에게 그 반대 사실을 알려준다.
인터넷은 수많은 글을 통해서 혜택과 손실을 충분히 보여준다, 허나 해외에서 물건을 들여오려는 사람들의 태도는 여전히 왕성하다.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은 거의 착취 수준에서 서방의 생산오더를 받아 물건을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있다. 라틴 아메리카, 방글라데쉬, 말레이지아, 필리핀, 체코공화국, 폴란드 등지에서 노동력은 착취되며 그들이 잘사는 모습은 보이질 않는다. 미국이 노동자들도 결코 잘 살지를 못한다. 착취와 번영은 서로 배타적인 개념이다. 착취된 이들은 결코 번영하지 못하며 번영된자는 착취되지 않는다.
Economists want us to believe that free trade makes everyone richer, but experience teaches us otherwise.
The Internet is replete with articles both pro and con, but the attitudes of people to offshoring is quite consistent. The peoples in underdeveloped nations involved in making products for the West chafe at the extent of the exploitation. Whether in Latin America, Bangladesh, Malaysia, the Philippines, the Czech Republic, or Poland exploited labor is never described as prosperous. Neither has prosperity blessed America’s laborers. Exploitation and prosperity are alien concepts. The exploited are never prosperous and the prosperous are never exploited.
어떤 나라도 해외 생산을 통해서 번영을 얻지 못한다. 경험으로 직접 얻은 증거는 경제학자가 머릿속에서 그려낸 의심스런 통계이론보다 훨씬 낫다. 그에 관해서라면 해외생산의 진짜 비용 The Real Cost of Offshoring 이란 글을 읽어보라.
인도 노동자는 미국 기업을 위해 일하면서 결코 부유해지지 못했다. 나프타 자유무역조약은 멕시코와 미국 노동자 모두에게 번영을 주지 못했다. 낮은 임금은 결코 이득이 아닌 것이다. 마르크스는 세계의 노동자들이 단결할 것을 요청했다 ;
서방기업의 지도자들은 마르크스 이론을 저주하라고 말한다. 경제학자들이 이렇게 현실에서 벌어진 일을 알지 못하는 것은 지적인 문맹이다. 아마도 그들은 사악한 길로 간것이리라.
No nation can boast of its prosperity gotten by offshoring. The empirical evidence gotten anecdotally is better than the dubious statistical evidence cited by economists (see The Real Cost of Offshoring.) India’s laborers are not getting rich working for American companies. NAFTA has not brought prosperity to Mexican or American workers. A low-wage job is not a gainful (prosperous) one. Marx asked workers of the world to unite; Western corporate leaders tell them to be damned. Any economist who does not see what is happening is intellectually blind. Or perhaps, just plain evil.
여태까지 이야기에서 경제학자는 이렇게 주장한다:
그 옛날에 부유한 나라의 제조회사는 그 나라 안에서 대부분의 생산을 했다, 그리고 서비스는 그들이 소비하는 나라의 인근에서 생산되었다. 그런데 서방 기업들은 제조 작업을 대규모로 해외로 내보내기 시작했다. 1980년대까지 이런 생산설비의 이동이 이뤄졌다. 이것은 단지 한방향으로만 갔는데, 부유한 국가에서 기술이 있는 저임금국가로 갔다.
In The Story so Far, the Economist put it this way:
ONCE UPON A time the rich world’s manufacturing firms largely produced in the rich world for the rich world, and most services were produced close to where they were consumed. Then Western firms started sending manufacturing work abroad on a large scale. By the 1980s this was well established. The movement was overwhelmingly in one direction: away from rich countries to places where workers with adequate skills were much cheaper.
Whether openly stated or not, lower labour costs were almost always the chief rationale.
공개적으로 말하건 아니건간에 저임금 경비는 늘 중요 이유였다. 기업에게 노동자는 가축이나 다름없었다. 이런 경제관행을 옹호하는 지배계층은 사악한 개를 좋아했다. 이 얼마나 환상적인 세상이란 말인가!
이런 관행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이 관행은 이익추구가 목표일때까지 바뀌지 않는데, 다만 인류의 복지가 목표가 되면 달라질 것이다. 만일 인류가 생존하려면 인류 복지가 국가와 제도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To corporations, workers are likened to beasts of burden and the economic elite who advocate this economic practice are then likened to vicious dogs. What a wonderful world! It will not change until the welfare of mankind, rather than profit, becomes the goal of political-economy. If the human race is to survive, the welfare of human beings must be the goal of human institutions.
존 코지는 은퇴한 철학교수이며 사회, 정치, 경제문제에 대해 기고하는 이론가이다.
John Kozy is a retired professor of philosophy and logic who writes o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After serving in the U.S. Army during the Korean War, he spent 20 years as a university professor and another 20 years working as a writer. He has published a textbook in formal logic commercially, in academic journals and a small number of commercial magazines, and has written a number of guest editorials for newspapers. His on-line pieces can be found on http://www.jkozy.com/ and he can be emailed from that site’s homepage.
번역출처: Peterkim 님 http://blog.daum.net/petercskim/7866632
'지구촌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화성과 목성사이에 ‘꼬리 6개’ 달린 회전하는 희귀 소행성 포착 (0) | 2013.11.10 |
---|---|
+ 화성서 생명체 발견?…이구아나 닮은 물체 포착 (0) | 2013.11.10 |
+ UFO 뉴스 / 도심속 주택가를 누비는 저것은 무엇 ? 소형 정찰 UFO ? (0) | 2013.11.09 |
+ 다니엘의 서한 / 지구행성에 대한 대형 경고 : 그들이 오고있다 ! (0) | 2013.11.09 |
+ UFO 뉴스 / 태양주변 작업중인 UFO, 지구상공에 출현 UFO 들. ISON (0) | 2013.11.07 |
+ 지구와 비슷한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공개 - '케플러 69c' 나사 [NASA] (0) | 2013.11.05 |
+ “은하계에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은 200억개” -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0) | 2013.11.05 |
+ 오늘, 개기일식·금환일식이 동시에..159년 만의 우주쇼 (0) | 2013.11.04 |
+ UFO 뉴스 / 태양 주변의 UFO 들, 달에도, 지구 상공에도 UFO 들... (0) | 2013.11.04 |
+ " 켐트레일 " / 미 국방부에서 기원한 것임이 자료에 의해 폭로되다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