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NASA, 돈 없어서 화성탐사 중단 ?? / 외계행성 ‘사이즈’ 측정 성공

 

 

 

“NASA, 돈 없어서 화성탐사 중단할 수 있다”

 

입력: 2014.07.25 10:39

 

 

 

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가 야심차게 준비중인 외계행성탐사프로젝트가 예산 부족으로 중단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회계감사원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NASA가 2017년 말에 실시하는 초대형 로켓 발사계획이 예산 부족으로 시험비행하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위기가 닥친 NASA의 초대형 로켓 프로젝트는 우주인을 태운 로켓을 화성에 발사하는 것으로, 기존의 새턴V로켓보다 규모가 크고 첨단기술을 더욱 많이 탑재할 예정이었다.

 

길이는 117m, 무게는 3000t에 달하는 거대한 로봇은 유인화성탐사에 필수적인 요소로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위해서 기존에 NASA가 책정한 예산은 120억 달러(약 12조 4000억 원).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4억 달러(약 4124억 5000만원) 가량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족한 금액이 채워지지 않는다면 NASA는 2017년 12월로 계획했던 기존의 시범비행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로서는 이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준비중에 있지만, 보고서를 작성한 크리스티나 채플린은 “NASA가 현재 가진 돈으로는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없다”면서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금적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NASA 측은 “현재 발사 예정일을 맞출 가능성은 90%정도”라고 밝혔지만 예산과 관련한 문제가 당장 해결되지 않을 경우 로켓발사가 취소될 수도 있다는 전망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게다가 회계감사원 및 예산집행과 관련한 부서 측은 NASA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성에는 기존 예산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이 들었던 선례를 떠올리며, 기존 예산이었던 120억 달러보다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725601004

 

 

 

 

역대 가장 정확한 ‘사이즈’…외계행성 측정 성공

 

입력: 2014.07.25 11:07

 

 

 

 

너의 정확한 크기는 어떻게 되니?

 

이제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하나가 역대 가장 정확한 사이즈로 측정됐다. 최근 미국 워싱턴 대학 연구팀은 이른바 ‘슈퍼지구’ 로 불리는 ‘케플러-93b’(Kepler-93b)의 정확한 사이즈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밝힌 이 외계 행성의 정확한 사이즈는 지름 1만 8,800km (± 240km). 지구 지름이 1만 2,756.km인 것과 비교해보면 약 1.5배 커 사실상 지구 사이즈와 비슷하다. 오차가 단 1%에 불과할 만큼 행성의 사이즈를 정확히 재는 비법은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두 우주망원경 덕분이다.

 

연구팀은 케플러와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동원해 소위 ‘트랜싯법’이라는 기술로 이 외계 행성의 정확한 사이즈를 측정했다. 일반적으로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그 크기는 물론 존재 자체도 찾기 힘들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행성이 별(태양과 같은 항성)앞으로 지나갈 때 일어나는 항성의 밝기 변화로 그 존재 유무와 사이즈를 계산한다.

 

연구를 이끈 워싱턴 대학 사라 발라드 박사는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나가는 식(蝕·eclipse) 현상을 관측하는데 있어 고성능의 케플러와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큰 역할을 한다” 면서 “이번 연구로 외계행성 관측의 수준을 한단계 더 높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구에서 3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케플러-93b’는 우리 태양 질량의 90%를 가진 항성을 돌고있다. 크기가 지구와 유사해 유력한 슈퍼지구 중 하나로 꼽히나 실제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낮다. 그 이유는 항성과의 거리가 너무 가깝기(뜨겁기) 때문으로 태양계와 비교하면 태양과 화성 거리의 1/6에 불과하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7256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