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걷는 물고기’ 등 신종 동식물 211'종 희귀한 생명체 - 히말라야서 발견

 

 

 

‘걷는 물고기’ 등 신종 동식물 200종 히말라야서 발견

 

입력: 2015.10.05 14:14

 

 

 

 

 

 

 

히말라야에서 지금까지 인간의 눈에 띄지 않았던 신종 생물 200종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고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등 해외 언론이 4일 보도했다.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이하 WWF)이 지난 5년간의 네팔과 부탄, 버마와 중국 티베트 남부, 인도 북동부 등지의 히말라야 생태계 조사를 통해 식물 133종, 어류 26종, 양서류 10종, 파충류 1종, 조류 1종, 포유동물 1종 등 신종 동식물 211종을 최초로 찾아냈다.

 

여기에는 지금껏 듣도, 보지도 못한 희귀한 생명체도 포함돼 있는데, 일명 ‘걸어 다니는 물고기’라는 별칭이 붙은 가물치의 일종은 물 밖에서도 호흡이 가능하며 최장 4일동안 육지에서 살 수 있으며, 물기가 있는 바닥에서는 ‘걷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걸어 다니는 물고기’는 인도 벵갈 서부에서 발견됐으며, 성격이 비교적 사나운 것이 특징이다.

 

눈길을 사로잡은 또 다른 생물은 ‘들창코 원숭이’의 일종으로, 버마 북부지역의 숲에서 발견됐다. 이 원숭이는 비가 내리는 날 유독 더 찾기 쉬운데, 이유는 밖으로 심하게 들춰진 코 탓에 빗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쉬지 않고 재채기를 하기 때문이다.

 

이 원숭이는 재채기를 피하기 위해 비가 오는 날이면 머리를 무릎 사이에 끼워넣은 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있는 습성이 있다고 WWF 전문가가 밝혔다.

 

신종 양서류 중 하나인 개구리는 눈에 띄는 파란색 눈을 가졌으며, 머리가 창과 비슷한 모습이고 몸 색깔이 화려한 노란빛을 띄는 뱀도 있다.

 

신종 동식물의 발견이 반갑기는 하나 WWF 전문가들은 이들 동식물이 알지도 못하는 새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중 4분의 1 정도만 안정된 서식지를 가지고 있을 뿐, 다른 동식물들은 지구 온난화나 인구 증가, 삼림파괴, 광산 채굴 등의 이유로 개체수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

 

WWF 영국 지부의 히더 솔은 데일리메일과 한 인터뷰에서 “이번 신종 동식물의 발견은 우리가 배워야 할 종(種)이 얼마나 많은지를 일깨워준다”면서 “하지만 이들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결국 모든 것이 사라질 것”이라며 관심을 촉구했다.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1005601013&section=&type=daily&page=

 

 

 

시베리아서 최소 11마리 털매머드 묻힌 ‘공동묘지’ 발견

 

입력: 2015.10.05 11:12

 

 

 

 

 

시베리아 한티만시 자치구 오비강(江) 인근에서 11마리 이상의 매머드가 묻힌 '공동묘지'가 발견됐다.

최근 러시아 현지언론은 1만년~3만년 사이에 죽어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털매머드(woolly mammoth)가 무더기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굴된 뼈만 총 550개에 달해 최소 11마리 이상의 털매머드가 묻힌 것으로 추정되며, 멸종된 털코뿔소와 선사시대 순록의 뼈도 함께 발견됐다.

 

발굴을 이끌고 있는 한티만시스크 자연사 박물관 안톤 레즈비 연구원은 "강물에 표면이 씻겨나가면서 일부 뼈가 모습을 드러냈다" 면서 "정확한 나이와 왜 함께 죽어 묻혔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550개의 뼈 중 1개는 털코뿔소, 3개는 선사시대 순록, 나머지는 모두 털매머드" 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굴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역시 왜 이 동물들이 한꺼번에 죽어 이 지역에 묻혔느냐는 점이다. 다양한 추측이 오가는 가운데 현지언론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크게 2가지 가능성을 제기했다.

 

시베리안 타임스는 "당시 매머드들이 무기질 겹핍으로 필사적으로 칼슘을 먹기위해 함염지(Salt lick·동물이 소금기를 핥으러 모이는 곳)인 이곳에 왔다가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면서 "이밖에 당시 인류에게 단체로 사냥됐을 가능성도 있다" 고 보도했다.

 

한편 털매머드는 한 때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지역에 살았던 동물로 긴 털과 거대한 엄니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시베리아에서는 약 1만 년 전, 북극해의 한 섬에서는 약 3,700년 전 까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매머드는 그러나 어느순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멸종동물에 이름을 올렸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1005601010&sect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