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미국 중서부 '역대급' 홍수 직면…45개 강 대홍수 조짐

 

 

 

미국 중서부 '역대급' 홍수직면…45개강 대홍수 조짐

 

송고시간 | 2015/12/31 00:00페이스북

 

 

홍수로 끊긴 美 미주리 고속도로

 

홍수로 끊긴 美 미주리 고속도로

홍수로 끊긴 美 미주리 고속도로(밸리파크<美미주리주> AP=연합뉴스) 30일(현지시간) 미국 미주리 주 밸리파크 지역의 44번 고속도로 일부가 침수된 모습. 미주리 주 등 중서부 지역이 불어난 강물로 '역대급' 홍수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 기상청은 이날 중부 지역 400개 강의 수위가 홍수 수위를 이미 넘었고, 이 중 45개는 대홍수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댈러스=연합뉴스) 장현구 특파원 = 미국 미주리 주를 비롯한 중서부 지역이 불어난 강물로 '역대급' 홍수 위기에 직면했다.

 

이상 고온이 빚은 살인 토네이도가 연말 중서부 지역을 강타하면서 집중호우로 높아진 강물이 이젠 도시를 집어삼킬 태세다.

 

30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중부 지역 400개 강의 수위가 홍수 수위를 이미 넘었다. 이 중 45개는 대홍수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미국 기상청이 밝혔다.

 

홍수를 부를 강이 대부분 미주리 주의 중심 도시인 세인트루이스와 일리노이 주를 지나는 상황에서 강물 수위는 30∼31일 최고조에 이를 전망이다. 중부를 위아래로 관통하는 미시시피 강의 수위가 언제 최고조에 이르냐에 따라 피해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강물 범람이 현실로 다가옴에 따라 미주리 주 기상 당국은 역대 가장 처참한 홍수 피해를 남길 것임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지붕만 보이네…

지붕만 보이네…(브랜슨<美미주리주> AP=연합뉴스) 29일(현지시간) 미국 미주리 주 브랜슨 지역의 홍수로

침수된 주택들. 미주리 주 등 미국 중서부 지역이 불어난 강물로 '역대급' 홍수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 기상청은

30일 중부 지역 400개 강의 수위가 홍수 수위를 이미 넘었고, 이 중 45개는 대홍수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미주리 주를 흐르는 부르버즈 강, 메러멕 강, 미시시피 강의 수위는 홍수 경계수위보다 3∼8m 이상 높아진 상태다.

 

체스터 시를 휘감는 미시시피 강의 수위가 가장 높은 15m로 관측됐고, 유레카 시를 통과하는 메러멕 강의 수위도 14m로 측정됐다.

 

미국 기상청의 강물 수위 정보

 

미국 기상청의 강물 수위 정보

 

지난 27일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한 제이 닉슨 미주리 주지사는 "강물이 이렇게 불어난 걸 보지 못했다"면서 "미시시피 강이 범람한 1993년 대홍수의 재해 기록을 넘어설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그는 "물빼기 작업이 신속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복구 작업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미주리 주를 필두로 홍수 경보에 따라 집을 떠난 이재민은 미국 전역에서 1천700만 명에 달한다고 CNN 방송은 소개했다.

 

미주리 주는 이재민이 떠난 지역에 주 방위군을 투입해 지역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자원봉사자와 함께 둑에 모래를 쌓아 추가 피해를 막으라고 지시했다.

 

성탄절 연휴 앞뒤로 미국을 할퀸 토네이도로 최소 49명이 숨진 가운데 미주리 주(13명), 텍사스 주(11명)가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봤다.

 

특히 사망자 대부분은 야간에 차를 몰던 운전자들로, 불어난 강물이 엄습하는 줄 미처 모르고 도로 위를 달렸다가 강물에 휩쓸리거나 오도 가도 못해 익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역대급 엘니뇨(적도 해수면 상승)는 이달 지구 북반구 전역에 홍수와 이상 고온 현상을 야기하며 기승을 떨쳤다.

 

미국에서 12월 토네이도 발생 건수는 평균 24차례에 불과하나 엘니뇨 탓에 지난주에만 최소 69개의 토네이도가 발생해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를 낳았다.

 

 

물에 잠긴 주유소(AP=연합뉴스 DB)

 

물에 잠긴 주유소(AP=연합뉴스 DB)

 

 

<저작권자(c) 연합뉴스> cany9900@yna.co.kr 2015/12/31 00: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5/12/30/0619000000AKR2015123019980012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