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얘기들 !

+ 왜소행성 세레스 초근접 ‘크레이터’ 모습 포착 (NASA) 차세대 탐사선

 

 

 

왜소행성 세레스 초근접 ‘크레이터’ 모습 포착

(NASA)

 

입력: 2016.01.13 10:52

 

 

 

▲ 쿠팔로 크레이터

 

 

▲ 세레안 크레이터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 벨트에 위치한 왜소행성 세레스(Ceres)의 속살이 서서히 벗겨지고 있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무인탐사선 던(Dawn)이 촬영한 세레스의 크레이터(crater) 모습을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역대 세레스 사진 중 표면 모습이 가장 생생히 드러난 이 사진은 지난해 12월 19일~23일 불과 385 km 거리에서 촬영된 것이다.

 

사진 속 주위가 밝게 빛나는 이 크레이터의 이름은 쿠팔로(Kupalo Crater). 세레스의 전체 크레이터 중 어린 축에 속하는 쿠팔로는 26km 크기로 남반구에 위치해있다. 흥미를 끄는 점은 역시 크레이터 가장자리에서 밝게 빛나는 물질의 정체다. 이에 대해 현재까지 전문가들이 내린 결론은 바로 소금이다. 수화(水化)된 황산마그네슘이 태양빛에 반사되면서 밝게 빛난다는 것.

 

 

 

그간 전문가들은 세레스 북반구에 위치한 오카토르 크레이터(Occator crater)에 먼저 관심을 가져왔다. 일찌감치 던 탐사선에 포착돼 언론의 주목을 받은 오카토르에는 밝게 빛나는 거대한 하얀 점이 존재하는데 이 정체를 놓고 그간 화산, 간헐천, 바위, 얼음, 소금 퇴적물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돼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탐사 결과 세레스에는 이외에도 총 130개의 크고 작은 하얀 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성분을 황산마그네슘으로 보고있다.

 

던 프로젝트 연구원 폴 쉥크 박사는 "쿠팔로 외에 세레안(Cerean), 단투(Dantu) 크레이터 등의 생생한 모습도 포착됐다"면서 "이중 단투는 우리 달의 타이코(Tycho) 크레이터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갖고있다"고 밝혔다.    

 

한편 세레스는 지름이 950km에 달해 한때 태양계 10번째 행성 타이틀에 도전했으나 오히려 명왕성을 친구삼아 ‘왜소행성’(dwarf planet·행성과 소행성의 중간 단계)이 됐다. 그러나 세레스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태어나 당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학자들에게 ‘태양계의 화석’이라 불릴 만큼 연구가치가 높다.  

 

나우뉴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13601006&section=&type=daily&page= 

 

 

 

[아하! 우주]

NASA 차세대 탐사선은 ‘젤리 넣은 벌레’?

 

 

입력: 2016.01.13 10:14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화성 탐사선은 로봇 형태의 기존과 달리 젤리 등의 유동체가 가득 채워진 ‘벌레’ 모양이 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왔다.

 

혁신적인 특허 상품들을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페이턴트요기(PatentYogi)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시간) NASA는 미국 특허상표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에 새로운 디자인의 특허를 신청했다.

 

마치 꿈틀거리는 벌레처럼 둥글고 긴 형태의 이 탐사선 디자인은 확실한 외형을 가진 것이 아닌, 지형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물컹물컹하고 모양이 잘 변하는 젤리를 연상케 하는데, 실제로 벌레 형태의 이 탐사선 내부에는 형상기억고분자(바깥의 힘에 의해 만들어진, 일정한 변형이 열처리 등으로 상실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는 고분자)의 성질을 가진 유동체가 채워져 있어 외형이 자유자재로 변화한다.

 

전문가들은 NASA가 차세대 화성 탐사선에 이와 유사한 디자인을 도입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이유는 화성 특유의 지형 때문이다.

 

현재 운용하는 탐사선의 가장 큰 문제는 탐사선의 바퀴가 우주먼지나 모래 등에 쉽게 걸리고 빠진다는 것이었다. 만약 NASA가 실제로 물컹한 젤리가 든, 벌레 형태의 새 탐사선을 만든다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ASA는 해당 디자인과 관련해 미국 특허상표국에 보낸 설명서에서 “기존의 탐사선은 제트 추진 방식을 주로 이용했으며, 특히 모래가 많은 달이나 화성 표면에서는 유독 이동 시 바퀴가 빠지거나 방향을 잡는 것이 어려웠다”면서 “형태를 따로 가지지 않는 새로운 탐사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13601003&section=&type=daily&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