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 여름, 북극 빙하가 사라진다 "
2010/09/16
(워싱턴 AFP=연합뉴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년후 여름에는 북극해의 얼음이 완전히 없어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학의 강설. 빙하 데이터센터(NSIDC)는 올들어 해빙기가 끝난 지난주를 기준으로 북극해의 빙하 표면적이 476만㎢로 측정됐다고 최근 연례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북극 빙하면적을 위성으로 측정한 이래 면적이 500만㎢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3번째이며 3번 모두 최근 4년 안에 발생했다.
또 미국 해양 대기청(NOAA)의 최근 보고서에서도 지난달 북극해의 빙하 면적이 급감, 평균 600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979~2000년의 평균 면적에 비해 22%나 적은 것이다.
지난달 평균 북극 빙하면적은 1979년 위성 측정 시작 이래 지난 2007년 9월에 이어 2번째로 낮은 월평균 값을 기록했다.
2007년 해빙기가 끝난 9월 북극해 빙하 면적은 413㎢로 사상 최저를 기록한 바 있다.
마크 세레즈 NSIDC 소장은 빙하 축소가 멈췄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 "역사상 최저를 기록한 것은 아니지만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며 회복 신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올 들어 빙하면적은 연중 감소 추세에 있으며 가을.겨울에도 평년에 비해 얼음이 적게 형성될 것이라고 세레즈 소장은 내다봤다.
세레즈 소장은 "북극해의 빙하가 10년만에 11% 감소했다"며 "매우 빠른 속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 생각에는 2030년께 9월초에는 북극해에서는 빙하를 전혀 볼 수 없을 것"이라며 "그 정도로 빨리 빙하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북극해 빙하가 사라지면 북극곰뿐 아니라 전 세계 기후 등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NOAA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지표와 해수면의 온도는 기상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1998년 1~8월과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름 기온은 1998년 이후 가장 높았다.
세레즈 소장은 "앞으로 점차 한파가 줄어들 것인데, 이는 강설에 식수공급을 의지하는 지역에서는 큰 문제가 된다"고 덧붙였다.
tre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세상속 얘기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러, 천안함 보고서 한국에 안 넘길 것 ` (0) | 2010.09.22 |
---|---|
+ IEA `전기없이 사는 세계인구 14억명` (0) | 2010.09.22 |
+ 하늘에서 떨어졌다가 사라진 사람의 미스터리 (0) | 2010.09.20 |
+ 교황, 아동 성추행 피해자에 사과 (0) | 2010.09.19 |
+ 영국 Tony Blair의 처제가 형부에게 보내는 공개편지 (0) | 2010.09.17 |
+ 재앙 / 수퍼박테리아 전염 공포… 14개국에 번졌다 (0) | 2010.09.16 |
+ ♡* 지구인들이여 너희들은 무엇을 보고 사는가 *♡ (0) | 2010.09.15 |
+ ` 신종 슈퍼박테리아는 `시한폭탄` ` (0) | 2010.09.14 |
+ `국산 1호` 고속전기차 데뷔…전기차 시대 개막 (0) | 2010.09.09 |
+ 中 진드기 공포확산.. 허난성만 18명사망 (0) | 201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