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황장엽, 강남 자택서 심장마비 추정 . 숨진 채 발견

황장엽, 자택서 사망..심장마비 추정 (종합)

2010/10/10

황장엽,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서울=연합뉴스) 10일 오전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장(전 북한 노동당 비서)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고 경찰이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9월 29일 서울 논현동 북한민주화위원회에서 열린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한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장(전 북한 노동당 비서)이 행사장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 2010.10.10

경찰, 사인규명 위해 부검키로..외부침입 흔적 없어

정부소식통 "타살 가능성 없어"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이지헌 기자 = 황장엽(87) 전 북한 노동당 비서가 10일 오전 9시30분께 서울 강남구 논현1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날 좌욕을 하러 화장실에 들어간 황씨가 오랫동안 나오지 않아 보안요원이 들어가 보니 황씨가 숨져 있었다.

황씨는 국정원 요원에 의해 특급 경호를 받아왔으며 이날 외부 침입 흔적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황씨가 평소 지병이 없었고 별다른 사인이 없는 것으로 미뤄 심장마비 등으로 숨졌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인 파악을 위해 부검을 할 계획이다.

황씨의 시신은 현재 경찰병원으로 옮겨진 상태다.

한 정부 소식통은 "황씨가 매일 오전 5~7시에 좌욕을 해왔다"며 "사인은 현재 심장마비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정부 소식통도 "타살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황장엽,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서울=연합뉴스) 10일 오전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장(전 북한 노동당 비서)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고 경찰이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9월 29일 서울 논현동 북한민주화위원회에서 열린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한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장(전 북한 노동당 비서)이 행사장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 2010.10.10

정부 당국자들은 황 전 비서의 갑작스런 사망에 놀라움을 표시했다.

황씨는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장과 당 국제담당 비서 등을 맡다 1997년 2월 김덕홍 전 북한 여광무역 사장과 함께 베이징 주재 한국총영사관에 망명을 신청한 뒤 필리핀을 거쳐 서울에 도착했다. 남측으로 망명한 북측 인사 가운데 최고위급 인사다.

1923년 함경북도에서 태어난 황씨는 김일성 종합대학을 거쳐 1949년 모스크바종합대학에서 마르크스-레인주의 철학을 공부했고, 1954년 김일성종합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김일성 사상을 주체사상으로 집대성함해 `주체사상의 대부'로 불린다.

1970년 당중앙위원, 1980년 당비서, 1984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1987년 사회과학자협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그는 `김정일 백두산 출생설'을 퍼뜨리는 등 김정일 후계구도 정립 과정에도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황씨는 한국으로 망명한 이후 줄곧 북한에 직설적인 쓴소리를 던지며 체제문제를 건드려 북한으로서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황씨는 2006년 12월에는 빨간 물감이 뿌려진 자신의 사진, 손도끼와 협박편지가 든 우편물이 그의 앞으로 배달되는 등 지속적인 살해위협을 받아왔다.

지난 4월에는 황씨를 살해하라는 지령을 받고 북한에서 남파된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총국 소속 간첩 2명이 체포돼 구속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경호팀은 황씨를 24시간 밀착 경호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황장엽, 강남 자택서 심장병으로 숨진 채 발견

뉴시스 | 기사전송 2010/10/10

【서울=뉴시스】민지형 기자 = 황장엽(87) 전 북한 노동당비서가 10일 오전 9시30분께서울 강남구 논현1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지병인 심장병에 의한 자연사인 것으로 확인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9시30분께 황씨가 사망했다"며 "사망원인은 아직 정확히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도 "황장엽씨의 부인으로부터 연락이 왔는데, 자택에서 사망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황씨는 평소 심장병을 앓는 등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일단 심장병에 의한 자연사로 보고 있지만 타살 가능성에도 대비, 부검에 들어가기로 했다.

황씨는 그동안 북한 당국으로부터 공적1호로 손꼽히는 등 공공연히 암살위협을 받아왔다.

경찰은 이날 중 황씨의 사망에 대해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학계와 보수단체, 일부 시민들은 "정부가 황장엽씨 같은 주요 인물에 대한 관리체제가 너무 허술해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며 "정부는 차제에 과학적인 관리체계를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mjh@newsis.com

[뉴시스 이시간 핫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