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얘기들 !

+ '공포의 흑사병 발생' / 중국서 전염성 강한 흑사병 발생…전염 차단 '비상'

 

 

 

중국서 전염성 강한 흑사병 발생전염 차단 '비상'


송고시간 | 2019-11-13


네이멍구 환자 2 베이징에서 흑사병 확진받아


중국서 흑사병 환자 2명 발생


중국서 흑사병 환자 2 발생

[인민망 캡처]


(베이징=연합뉴스) 김진방 특파원 = 중국에서 쥐벼룩을 매개로 전염되는 흑사병 환자가 발생해 전염 차단에 비상이 걸렸다.


13 인민일보 인터넷판 인민망(人民網) 따르면,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 시린궈러(錫林郭勒)맹에서 최근 흑사병 환자 2명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흑사병 환자 2명은 지난 3 베이징 차오양(朝陽)구의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흑사병 확진을 받았다.


중국 의료당국은 현재 환자들에 대한 격리 조치를 마친 상태며, 전염을 막기 위한 조치를 마쳤다고 밝혔다.

 

의료당국의 발표에도 흑사병 확진 판정 소식이 알려지자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불안을 호소하는 게시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은 "흑사병 환자들은 병원 응급실을 통해 병원에 입원했다"면서 "흑사병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확진 판정까지 열흘 가까이 시간이 걸린 것이 불안하다" 말했다.


쥐벼룩을 매개체로 페스트균에 의해 전염되는 흑사병은 2012 마다가스카르에서  256건의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60명이 목숨을 잃어 세계 최대 사망자 숫자를 기록했다.


2017년에도 마다가스카르에서는 흑사병으로 24명이 목숨을 잃었다.


14세기 중세 유럽에서는  전염병으로 2500 명이 목숨을 잃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chinakim@yna.co.kr>2019/11/13 11:09 송고 

https://www.yna.co.kr/view/AKR20191113071600083?section=international/all


 


[질병백과]

흑사병이란 ??


 

undefined


다른 표기 언어

Yersinia Pestis


흑사병 


분류: 감염성 질환 

발생 부위: 피부 

증상: 경부 림프절병증, , 검은 , 가슴 통증, 객혈, 기침, 호흡곤란

진료과: 감염내과

관련 질환: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병


정의


인류의 역사상 수많은 재난이 있었지만 사망자의 수로 본다면 중세에 유럽에서 유행했던 페스트가 가장 규모가  재앙이었다고   있습니다. 흔히 흑사병이라고 부르는 페스트의 유행은 1347년부터 1351 사이의  3 동안 2천만 명에 가까운 희생자를 냈습니다.


아마도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병은, 중앙아시아의 타슈켄트 지역을 건너 흑해, 크림반도를 거쳐 이탈리아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크림반도의 카파는 지중해를 무대로 동방 무역을 하던 제노아 상인들이 오랫동안 경영해온 도시였습니다. 1347  성채를 포위 공격 중이던 타타르군은 영내에 페스트가 발생하자, 환자들의 사체를 일부러 성벽에 내버린  철수하였다고 합니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일종의 세균전과 같은 발상이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성내로 전파된 페스트는 도시를 쑥밭으로 만들었고,  무서운 역질을 피해 본국으로 철수한 이탈리아인들이 상륙한 순서에 따라 메시나, 제노아 등지를 거쳐,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원래  병은 쥐벼룩에 의해 전파되는 옐시니아 페스티스라는 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었습니다.  시기에 페스트가 그토록 맹위를 떨치게 되는 것은 징기스칸의 서방 원정과 더불어 이동한 아시아 쥐들이 유럽에 원래 살고 있던 쥐들을 구축하고 번창하게 되었기 때문이라는 생태학적인 가설도 있습니다.  페스트의 숙주가 되는 새로운 쥐와 쥐벼룩의 수가 갑자기 증가하였기 때문에 페스트가 창궐할  있었다는 학설입니다.


어쨌든  균에 감염되고  6일간의 잠복기가 지나면 환자는 흉부  통증, 기침, 각혈, 호흡곤란, 고열을 호소하게 되며, 대부분의 환자는 끝내 의식을 잃고 사망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병형이었습니다. 내출혈로 인해 생기는 피부의 검은 반점 때문에 흑사병으로 불리는  병은 어깨 , 서혜부, 목과  뒤에 생기는 달걀 크기의 종창을 동반하는 림프절성 페스트로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천벌이라고 생각할  밖에 없을 정도로 무시무시하고 불가항력적인 재앙이었습니다.


대재앙을 맞은 유럽 각지에서는  질병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해석과 대책이 마련되었습니다. 페스트가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벌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은 기도와 금식에 의존하였고, 부패한 공기가 문제라고 여긴 사람들은 장뇌나 강력한 향기를 내는 방향제를 몸에 지니고 다니며 좋은 냄새를 맡으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당시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보면 의사들 역시  부분에 방향제를 넣는 새의 부리와 비슷한 주머니가 달려 있는 두건을 쓰고 있는 것을   있습니다. 밀라노에서는 페스트 환자의 집을, 환자와 가족들이 안에 들어 있는 채로, 아예 폐쇄해버렸는데  덕분인지 밀라노의 사망률은 15퍼센트에 그쳤다고 전합니다.


 유행병 때문에 공중위생의 면에서 여러 가지 제도가 정립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전역에서는 환자들을 마을 밖의 나병 수용소에 격리하였고, 출입하는 사람과 물건을 일정기간 격리하는 검역의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크로아티아 라구사에서는 1377 페스트가 유행하는 주변 섬들로부터 오는 사람이나 물자를 30일간 격리하는 제도를 정식으로 시행하였는데, 이것이 1397년에 40(quarantenaria) 늘어나 오늘날의 검역(quarantine) 영어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35XXXH003654